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임신·출산으로 경력단절, 민간기업이 공공기관의 3배

임신·출산으로 경력단절, 민간기업이 공공기관의 3배
민간기업에 다닌 여성이 공공기관에 다닌 여성보다 임신이나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경험한 비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세 미만의 자녀를 둔 25∼39세 여성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20.8%가 경력단절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에 성공한 여성을 포함해 현재 취업 상태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현재 취업하고 있지 않은 여성을 포함하면 경력단절 경험률을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경력단절 당시 다니던 직장 유형별로 보면 민간기업에 다니던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이 24.7%로, 공공기관 종사 여성의 7.8%보다 3배 이상 높았습니다.

또 임시·일용직은 42.9%로 상용직의 17.5%에 비해 경력단절 경험 비율이 훨씬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직 34.1%,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4.4%, 사무직 18.2%, 관리자 13.3% 순으로 경력이 단절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이유로는 '양육과 직장을 동시에 수행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2.6%로 가장 많았고, '자녀를 맡길 마땅한 시설이 부족'하거나 '인사상 불이익 등 직장 내 분위기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퇴사'했다는 응답도 많았습니다.

추가 출산에 대한 의지에도 차이가 있어서 현재 자녀가 1명인 공공기관 종사 여성 가운데 둘째를 낳고 싶다고 응답한 여성은 61.4%였으나 민간기업 종사 여성 중엔 그 비율이 47.1%에 그쳐 14.3%포인트 차이가 났습니다.

공공기관에 다니는 여성 중에는 7.9%만이 추가 출산시에 경력단절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민간기업 여성 중에는 17.3%가 경력단절을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연구를 수행한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본부장은 "취업-만혼화-저출산의 악순환 고리 중심에는 일·가정 양립 곤란이 자리잡고 있다"며 "민간기업 종사자, 임시·일용직 등은 욕구가 있어도 일·가정 양립제도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본부장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 가족친화적 직장 문화 조성 ▲ 인력대체 등 종합서비스 제공 ▲ 일·가정 양립 관련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 활성화 ▲ 가칭 '일·가정 양립 지원기금' 조성 등의 정책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