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쟁 입찰로 교복 값 떨어졌는데…구매율 '뚝'

<앵커>

교복값 거품을 줄여보자며 교육부가 올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교 주관 구매제'라는 걸 도입했습니다. 학교가 경쟁 입찰을 통해서 교복을 일괄 구매하는 건데, 교복값이 34%까지 실제로 내려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구매율이 생각보다 저조합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지 뉴스인 뉴스, 김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의 한 고등학교.

교복 공급 입찰에서 낙찰을 받은 업체 직원이 학생들의 몸 치수를 재고 있습니다.

[학교 지정 교복업체 직원 : 감안하고 봐야 돼요. 옷이 두꺼워서 재킷 어깨가 좀 불편할 수도 있어요.]  

경쟁 입찰을 거치면서 교복값은 개인들이 구입할 때 가격 약 22만 원보다 8만 원 정도 싸졌습니다.

그런데, 이 학교 입학생 중 절반 가량은 학교를 통해 교복을 사지 않았습니다.

[고등학교 입학생 : 중학교 때 샀던 업체에서 사고 싶은데 다른 업체에서 사라고 하면 내키지 않기도 하고요. 다 안 할 방법이 있단 말이에요. 물려받는다고 체크를 하고 개별구매를 한다거나.]  

경기도 한 지역의 고등학교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학교가 지정한 업체에서 교복을 사는 비율이 50% 수준에 그치거나, 그 이하인 학교들도 적지 않습니다.

낙찰됐던 업체들은 비상입니다.

[학교 지정 교복 업체 직원 : 빨리 달라고 (그럴까 봐) 우리는 70%씩은 다 (선주문)했어요. 그 이상… (재고를) 다 끌어안아야 되는데, 그게 고스란히 빚이 되잖아요.]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교육부는 학교 주관 구매제를 도입하면서 교복을 물려 입거나, 중고 교복을 사는 경우 등의 예외를 인정해 줬습니다.

그렇다 보니 낙찰을 받지 못한 경쟁 업체 대리점들에서 이렇게 상품권을 나눠주는 등 역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겁니다.

학교 주관 구매에 불참하라며 교문 앞에서 안내 전단을 돌리거나, 셔츠나 블라우스를 끼워주는 식으로 손님들을 끌어모읍니다.

[학교 비지정업체 직원 : 그건 강제 사항이 아니에요. 선생님들도 (강제로 하라고) 말을 못해요. 하복 구매 때는 저희가 문자를 넣어 드릴 테니까 (오세요). 4월 초에 판매할 겁니다.]  

교육부는 제도 정착을 방해하는 행위라며 법적 조치까지 검토하고 있다지만 엄포에 그치고 있습니다.

학교 지정 업체가 아닌, 다른 곳에서 품질이 더 좋거나 가격이 더 싼 교복을 사는 것은 막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교복 가격을 낮추는 데는 일단 성공한 학교 주관 구매제, 시장 논리로 파고 드는 입찰 탈락 업체들의 공세에 대응하지 못하면 반쪽 성공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조무환, VJ : 김종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