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물 다니라고 만든 '생태통로', 사람이 더 다닌다"

<앵커>

야생 동물들이 사람들 신경 쓰지 않고 마음껏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길이 생태통로입니다. 그런데 관리가 부실하다 보니까 정작 동물보다 사람들이 더 많이 다니고 있습니다.

조기호 기자입니다.

<기자>

생태통로가 마련된 경기도 광주의 한 터널입니다.

올라가 봤더니, 통로로 진입하는 길에 울타리가 떡하니 세워져 있습니다.

[강근구/경기도 광주시청 환경보호과 주무관 : 이런 시설물이 들어서지 말아야 하는데 자꾸 침범을 하니까 야생동물이 올 수가 없는 거죠.]

야생동물이 지나가는 길이라고 현수막까지 걸려 있는 또 다른 생태통로입니다.

그런데 야생동물이 아니라 사람이 지나갑니다.

심지어 생태통로에서 5m 정도 떨어진 곳에 등산로가 조성돼 있습니다.

전국 415개 생태통로 중에 이렇게 동물보다 사람이 더 다니는 생태통로가 절반 가까이나 됩니다.

동물들이 한 달에 한 번 이상 이용한 생태통로가 몇 군데나 되는지 관찰했는데, 정작 동물이 보인 건 10곳 중 3곳에 불과했고 사람이 10곳 중에 4곳으로 더 많았습니다.

이렇게 된 데는 생태통로를 만드는 부서 따로, 관리하는 부서 따로라서 진정한 동물 통로가 만들어질 수 없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봉호/서울시립대 조경학 교수 : 건축이나 토목 쪽에서 (생태통로를) 만들고 관리를 실제로 못하니까 환경 부서로 넘어가는데요. 그 건설하는 쪽에서 생물에 대한 이해의 폭이 떨어지다 보니까 적정한 생물 이동통로를 못 만들고 있는 것이죠.]

생태통로가 사람통로가 되는 걸 막으려면 주변 동물에 대한 꼼꼼한 습성 파악과 환경 조사가 우선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