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교훈 잊었나?…수학여행 안전요원 동반은 '공염불'

<앵커>

세월호 참사 이후에 학교들 수학여행에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을 동반시키겠다고 정부가 밝혔었죠. 공염불이었습니다. 당장 전문 안전요원을 확보하지 못해서 선생님들로 대신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광현 기자입니다.

<기자>

세월호 참사 이후 교육부는 수학여행 안전대책으로 2학기부터 인솔 교사를 돕는 안전요원을 학생 50명당 1명꼴로 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요원으로는 간호사나 응급구조사, 소방, 경찰 경력자를 예로 들었습니다.

[나승일/교육부 차관, 지난 6월 30일 :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역량이나 또는 심폐소생술 등의 위기상황에 구조할 수 있는…]

하지만, 개학을 앞두고 서울과 인천을 비롯해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이런 안전요원 대신 교사를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당장 안전요원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겁니다.

[교육청 담당자 : 안전요원을 구하기 어려우니까…약식이라고 하면 약식이고 기본적인 안전교육을 해서 투입하겠다는 거죠.]

교사들이 받는 안전교육은 하루 6시간씩 이틀 동안 진행됩니다.

이 가운데 총 8시간이 현장실습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교사들은 실습 교육에서 소화기 사용법과 심폐소생술 등을 배울 예정입니다.

하지만 12시간 교육만으로는 재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게 많은 재난 전문가들의 이야기입니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전문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을 확보하겠다고 밝혔지만, 2달 전 발표한 내용조차 지키지 못해 불신만 더 키우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 영상편집 : 장현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