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 30%가 '잠복 결핵'인데…여전히 결핵 후진국

<앵커>

이처럼 의료계 종사자에 대한 결핵 관리를 강화하는 건 잠복 결핵이 언제든 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국민의 30%가 잠복 결핵 상태로 추정되고 있고, 이들 가운데 10%는 실제로 결핵 환자가 됩니다. 우리나라 결핵 발생률은 OECD 국가 중 1위일 정도로 심각하지만 잠복 결핵 관리는 여전히 허술합니다.

윤영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 50대 여성은 아버지가 결핵 확진 판정을 받은 뒤 환자 가족에게 제공되는 검사 쿠폰으로 결핵 검사를 받았습니다.

[배순덕/결핵환자 가족 : 아버지랑 함께 사니까 같이 생활하면 호흡기로 전염이 된다고 하니까 저도 검사받으라고 해서 검진 받게 됐어요.]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결핵환자 가족이나 동거인에게 무료로 결핵과 잠복 결핵 검사를 할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률은 74.5%에 그치고 있습니다.

결핵 환자 가족 4명 중 1명꼴로 무료 검사조차 받지 않는 겁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 : 가족한테 결핵이 생겼음에도 자기와의 연관성을 낮게 보거든요. (결핵 위험에 대한) 인식이 낮습니다.]

결핵을 가난이 낳은 질병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결핵 후진국입니다.

해마다 국내에서는 4만 명씩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2천 명 넘게 결핵으로 목숨을 잃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10대 중반부터 20대까지의 결핵 발병률이 높은 게 특징입니다.

수면부족과 과도한 입시 스트레스, 여학생들의 경우 무리한 다이어트 때문에 청소년들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진 게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심재정/고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신생아에게 하는) BCG 접종에 의한 결핵 예방은 학생들한테는 효과가 많이 떨어질 수 있는데, 그때에 집단생활을 많이 하기 때문에 결핵환자가 있다면 전파력이 높습니다.]

정부는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위해 학교와 군부대 같은 단체시설에서 잠복 결핵 검사를 시행하고, 잠복 결핵이 확인될 경우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재경, 영상편집 : 김형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