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일병 보고받은 '김관진 책임론'…여야 엇갈려

<앵커>

윤 일병이 숨질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의 책임론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김 실장이 자세한 사건 내용을 알고도 모른 체 했다며 사퇴를 주장했고, 새누리당은 이를 일축했습니다.

최대식 기자입니다.

<기자>

새정치연합은 윤 일병 사건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이 사건을 축소, 은폐했다며 책임론을 집중적으로 제기했습니다.

윤 일병이 숨진 다음 날인 지난 4월 8일 김 실장이 국방부 조사본부장으로부터 대면보고를 받아 폭행의 전모를 파악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그런데도 연대장과 대대장 등만 보직해임한 것은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박범계/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 김관진 실장이 당시 모두 알았다고 봄이 상식이라 할 것입니다. 이리보나 저리 보나 대한민국의 안보실장을 수행할 자격이 없습니다.]

하지만 김 실장 측과 국방부는 당시에는 최근 알려진 엽기적 내용을 전반적으로 보고받지는 못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새누리당도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이 물러났으면 책임을 다 진 것이라며 추가 책임론을 일축했습니다.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진상조사와 처벌이 철저하게 이뤄지고 실효성 있는 사후대책이 마련돼 시행되는 것까지 국방부장관이 확실하게 책임져야 한다.]

김무성 대표는 그러면서 휴전국가의 안보 책임자가 흔들리고 자주 바뀌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은 국회 차원의 병영문화개선을 위해 여야를 초월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