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이 낳기 꺼리는 여성들…저출산 해결책은?

<앵커>

어제(11일)는 UN이 정한 세계 인구의 날입니다.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우려해 지정한 날인데 우리나라는 10년 넘게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이 걱정입니다.

저출산의 굴레를 어떻게 탈출할 수 있을지, 권애리 기자가 짚어봅니다.

<기자>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평균 자녀 수는 지난해 1.19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출산율 하락세가 가장 심각했던 12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간 겁니다.

2006년 이후 지금까지 53조 원의 예산을 보육 지원 등에 쏟아부었지만 일하는 여성들은 여전히 아이 갖기를 꺼리고 있습니다.

[맞벌이 여성/자녀 1명 : 연로하신 부모님께 맡기는 것도 죄송해지고…둘째까지 낳아서 또 맡길 생각을 하니 '아, 제가 회사를 그만두지 않고 과연 키울 수 있을까...' (생각해요.)]

여성의 초산 연령이 높아지는 것도 저출산 문제를 더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보육 지원만으로 한계에 봉착하자 정부는 신혼부부 주거지원 확대 등 결혼지원 방안까지 모색 중이지만, 실효성은 미지수입니다.

고용불안, 보육과 사교육비 부담, 결혼관의 변화, 노후불안 등의 복합적인 요인을 단편적 처방으로 풀기는 어렵습니다.

[오승연/보험연구원 연구위원 : (과거엔) 여성이 결혼을 통해서 사회생활 등을 희생해도 그게 노후보장을 해준 측면이 있는데, 결혼제도가 여성에게 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은 약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OECD 국가 가운데 남성 육아 휴직률 등 육아 참여율을 높이면서 공공보육도 활성화한 노르웨이와 스웨덴 등은 여성 취업률과 출산율이 함께 오르면서 저출산 탈출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전업 주부에게 출산과 양육수당을 집중 지원했던 일본은 여전히 초저출산국 상태입니다.

여성이 미래에 대한 불안 없이 아이를 낳고, 사회와 가정이 다 함께 키우는 구조가 정착되지 않는 한 어떤 저출산 대책도 미봉책에 그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분위기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회적 역량과 관심이 집중돼야 할 때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