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중, '대일 강경발언' 뒤늦게 공개 왜?

<앵커>

사실 어제(3일) 정상회담 뒤에 기자회견에서 일본을 겨냥한 발언이 안 나와서 의아해 했었는데 결국 오늘 고강도 발언이 나온 겁니다. 왜 그런건지 알아보겠습니다.

안정식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한·중 정상은 어제 회담직후 가진 공동회견에서 일본의 우경화 문제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공동성명도 마찬가지여서 부속서에 위안부 공동연구 방안을 담은 것이 유일한 일본 관련 내용이었습니다.

청와대 측은 어제 정상회담과 오늘 비공개 오찬에서 일본 문제에 대해 실제로 많은 토의가 있었지만 여러 가지를 고려해 공동 성명에는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대일 공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계속되고 있어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방한 일정을 마치고 돌아가는 만큼 회담 결과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정리할 필요성도 있었다는 겁니다.

중국 측이 한·중의 강경한 대일 공조 방침을 공개하길 원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실제로 중국 외교부는 어제 정상회담 도중 시 주석이 제기한 광복 70주년 공동 기념 발언을 일방적으로 공개한 바 있습니다.

[중국 CCTV : 내년은 세계 반 파쇼 승리 70주년이자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와 한반도 광복 70주년입니다. 양국이 함께 기념활동을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한·미·일 공조를 감안해야 하는 우리 정부가 공식 기자회견에서 일본을 비판하는 대신 비공개 오찬 발언 등을 빌어서 일본을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출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습니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돼 한·중 양국의 경제협력은 강화될 전망입니다.

[시진핑/중국 국가주석 : (한·중 양국은) 금융 협력의 새로운 채널을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대중 무역이 대미 무역의 2배가 넘을 정도로 경제 부문에서 미국보다 커진 중국의 영향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안유화/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실물협력은 계속 커지는데, 금융은 전혀 협력이 이뤄지지 않았다. 정지된 상태였다는 거죠. 이번에는 실물 협력과 금융 협력이 균형을 찾아가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거죠.]

시 주석이 한반도 핵무기 개발에 대한 확고한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은 북한에 상당한 압박이 되겠지만 공동성명에 '북핵 반대'라는 명확한 표현을 담지 못한 점은 여전히 한계로 남아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