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베, 안으로는 보수 결집…밖으로는 국제 여론전

<앵커>

아베 정권은 검증이란 술수를 통해서 '고노담화'를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이 아닌 한일 간 정치적 타협의 산물로 깎아내렸습니다. 아베 총리는 이런 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고노담화를 무력화해서 지지층을 결집하고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국제 여론전에서 한국에 밀리지 않겠다는 겁니다.

도쿄 김승필 특파원입니다.

<기자>

고노담화 발표 이듬해부터 일본 중학교 교과서에 위안부 기술이 담겼습니다.

여기에 반발한 우익 소장파 의원들이 지난 1997년 '일본의 앞날과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이란 단체를 결성했습니다.

당시 아베 의원은 이 모임의 초대 사무국장을 맡았습니다.

아베의 고노 담화 흠집 내기는 이 때부터 시작됐습니다.

[아베 총리/2007년 1차 내각 당시 : (고노담화) 강제성에 대해 말하면, 그것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었습니다.]

고노담화 무력화를 시도하는 건 보수 지지층의 결집이란 현실적인 목표가 있습니다.

여기에다 일본 우익 입장에서는 전쟁범죄를 인정하는 한 일본을 아름다운 나라로 포장하는 것도, 전후제체에서 탈피해 재무장에 나서는 것도 모두 불가능합니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무대에서 계속되는 한국의 공세를 꺾어보려는 뜻도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한일간 외교적 타협을 통해 이미 끝난 문제라고 주장하려는 것입니다.

[하기우다 중의원/자민당 총재 보좌관 : 위안부상을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곳에는 (검증 결과를) 설명 도구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안부 강제성을 부정함으로써 법적인 '배상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도 엿보입니다.

주로 한일 간 외교 사안이던 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근 중국까지 뛰어들어 논란이 확대되는 것도 고노 담화 무력화를 추진하는 한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영상취재 : 안병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