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日 "고노 담화, 한일 간 조정"…교묘한 흠집 내기

<앵커>

지난 93년 일본 정부가 위안부의 강제 연행을 인정하고 사과한 고노 담화는, 이후 한일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기준 역할을 해왔습니다. 일본이 오늘(20일) 그 기준에 영향을 미치려는 꼼수를 부렸습니다.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당시 한일 간에 문안 조정이 있었고 일본이 성의를 보였다고 발표했습니다.

도쿄에서 최선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 정부가, 고노 담화 검증 결과를 오늘 낮 일본 국회에 보고하고, 별도의 기자회견도 열었습니다.

외교문서 21장이 포함된 검증 보고서는, 고노 담화 작성 과정에서 한일간의 의견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모집에 관해 일본 측이 군의 '의향'이라고 초안을 제시하자 한국 측이 '지시'라는 표현을 요구해, 결국 '요망'으로 정리됐으며, 한국의 요구로, '사죄'라는 문구에 더해 '반성'이라는 표현도 추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의 검증 보고서는 일관 되게, 한국 측이 강제성 인정을 강하게 요구했고, 일본은 공식 기록이 없어 곤란하다고 버티다가 최종적으로 "본인 의사에 반해서"라는 표현으로 강제성 부분이 정리됐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 고노 담화의 핵심적 근거가 된 위안부 피해자 증언에 대한 사후 검증도 없었다고 적시했습니다.

한일 양국이 담화 문구를 두고 조정을 벌인 것도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검증보고서는 밝혔습니다.

고노 담화를 사실상 사문화하는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서도 일본 정부는 한일 관계를 중시해 고노 담화를 수정하지는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안병욱·한철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