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30개 놀이공원, 검사는 '업주 협회' 한 곳

<앵커>

놀이기구들이 갈수록 아슬아슬하고 짜릿짜릿해지는 추세지만, 안전점검은 허술하기만 합니다. 전국에 330개 놀이공원의 안전점검을 단 한 곳이 도맡아서 하고 있는데, 그나마도 놀이공원 업주들이 모여서 만든 기관입니다.

안전이 미래다, 김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공중에 달린 레일을 타고 내려오는 놀이기구에서 중학생이 떨어져 중상을 입었습니다.

개장한 지 이제 갓 두 달 된 놀이시설인데 레일이 끊어진 겁니다.

10미터 높이에서 회전하던 놀이기구는 밑으로 추락하면서 부서졌고 공중에서 문이 열려버린 놀이기구 안에선 아이들이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

놀이 기구의 스릴을 즐기다가 일어난 사고들입니다.

더 높게, 더 빠르게 움직여야만 인기를 끌 수 있는 만큼 위험성도 커져 자칫 사고가 나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십상입니다.

[당시 사고 승객 : 거기서 만약에 떨어졌다고 상상만 해도 저는 정신을 차릴 수가 없어요. 도저히 잠도 못 자고 그래서 병원에 가서 약을 타 먹어야 잠을 잘 수 있는 상황이고…]

그런데 일부 놀이공원은 안전 요원 자체가 태부족입니다.

대여섯 살 아이들이 타는 놀이기구지만 안전요원이 아예 보이질 않습니다.

놀이기구 운행이 끝나자 그제야 어디선가 나타납니다.

안전요원 1명이 놀이기구 3개를 담당하고 있던 겁니다.

이러다 보니 아이들은 멋대로 놀이기구에 오르락내리락하고, '키 제한' 같은 규정은 있으나 마나입니다.

이번엔 다른 놀이공원입니다.

수직으로 치솟는 놀이기구의 안전 바가 위로 살짝 들리면서 불안하게 덜컹거립니다.

[놀이기구 승객 : (안전 바가 위로) 들려! 이거 진짜 들려!]

[해당 놀이기구 관리인 : (안전 바 들리는데 괜찮아요?) 네. (안전장치가 안전 바만 있어요?) 네.]

놀이공원은 규정상 1년에 두 번 정기 안전검사를 받아 지자체에 보고하도록 돼 있습니다.

전국 330개나 되는 놀이공원의 안전검사를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라는 단체 단 한 곳이 정부로부터 위임받아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협회는 놀이공원 업주들이 모여 만들었습니다.

놀이시설과 이해 관계가 얽혀 있는 협회에서 안전 검사를 하고 있는 겁니다.

지난해 5월에는 당시 협회 회장의 가족이 운영하던 놀이 시설이 아예 안전검사를 한 번도 받지도 않은 채 운영하다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이근오/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검사 기관을 독립을 시켜라, 독립을 시키라는 이야기는 검사의 객관성·신뢰성, 이런 것들을 확보해서 제대로 (검사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허술한 안전점검 체제를 고치지 않으면 놀이공원 사고 때마다 반복되는 안전 대책은 공염불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김경연, VJ : 유경하·김영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