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없는 번호입니다"…지하철 재난 매뉴얼 '엉터리'

<앵커>

이런 문제도 있습니다.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누구나 허둥대기 마련입니다. 이 때 필요한 게 위기 대응 매뉴얼이죠. 초기 대응에 필수적입니다. 1천만 시민의 발인 지하철의 매뉴얼은 어떤지 알아봤습니다.

장선이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 역 안전관리실입니다.

대형화재나 열차 추돌 사고가 났을 때 대응방법을 담은 네 종류의 매뉴얼이 비치돼 있습니다.

비상 상황 시 국토교통부로 보고하라는 매뉴얼에 따라 적어놓은 번호로 전화를 걸어봤습니다.

엉뚱한 곳이 나옵니다.

[식약처입니다. (2110-8100 아닌가요?) 국토해양부는 이전한 지 꽤 됐고요, 전화번호는 식약처에서 쓰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세종시로 이전한 지 1년 반이나 지났는데, 예전 번호 그대로인 겁니다.

또 다른 번호는 아예 없는 번호입니다.

[지금 거신 번호는 없는 번호입니다. 다시 확인하신 후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지하철 3호선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메트로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4월 이름이 바뀐 국토교통부는 여전히 국토해양부로 돼 있고 과거 번호에 지역번호만 슬쩍 바꾼 엉터리 번호도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 우리도 개선 중이거든요. 다시 보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변재일/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대형 교통 시설이라든지 그런 분야에 대해서 특히 사고 위험성이 있는 분야에는 전수조사를 정부에 요청할 계획입니다.]

공공기관과 지자체를 통틀어 3천 건 넘는 위기 대응 매뉴얼이 이미 마련돼 있습니다.

새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있는 매뉴얼부터 제 역할 할 수 있도록 보완이 시급해 보입니다.

( 영상취재 : 최호준·임우식,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