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업무 공백에 어선 단속까지…해경 해체 후폭풍

<앵커>

박근혜 대통령의 해양경찰청 해체 발표가 후폭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해경은 1953년 내무부 치안국 소속 해양경찰대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이후 1996년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경찰청으로 독립했습니다. 4개 지방청과 17개 경찰서를 두고, 만명 넘는 인력을 보유했지만 세월호 참사 후 해체 운명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구조.구난에 해안경비업무 중국 어선 단속까지 맡아오던 해경 해체로 여파가 큽니다.

뉴스 인 뉴스, 김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해경 해체가 기정사실화하면서 국방부는 오는 2021년까지 해안 경비를 해경에 이관하기로 했던 방침을 재검토하게 됐습니다.

육군이 담당하고 있던 해안 경비 업무를 해경에 넘기면서 육군 병력을 감축하겠다는 구상을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야 하는 겁니다.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해경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고, 또 이관을 받을 수 있는 태세가 되어 있는지 이런 부분들을 지켜보면서…]

해경 신규 채용 계획을 놓고도 혼선이 빚어졌습니다.

박 대통령의 어제(19일) 대국민담화 직후 해경은 홈페이지를 통해 조직개편이 확정될 까지 올해 모든 채용 일정을 잠정 연기한다고 밝혔습니다.

[수험생 : 이렇게 크게 파장이 커질 거라고 생각 못했어요. 하루 아침에 (해경 해체) 말씀을 하시니까 당혹스럽고 어떻게 해야할지…]

논란이 확산되자, 해경은 오늘 오후 해경 채용시험을 다음 달에 실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해경은 올 상반기에만 336명을 채용한다는 방침에 따라 지난 3월 필기시험을 진행한 상탭니다.

때로 목숨까지 걸어야 하는 중국 어선 단속 업무를 비롯해 해수욕장 안전관리와 범죄예방도 해경이 맡았던 업무입니다.

넘겨받을 기관이 최종 결정될 때까지 자칫 업무수행에 공백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VJ : 이준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