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경 제재 vs 성과 없어' 다이빙벨 논란끝 철수

<앵커>

잠수요원들이 물속에서 안정적으로 또 오래 작업할 수 있게 한다던 다이빙벨이 결국 철수됐습니다. 실용성 논란 속에 바닷 속에 투입은 됐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진도 팽목항에 다이빙벨을 실은 바지선이 들어옵니다.

작업 이틀 만인 오늘(1일) 오전 11시쯤 자진 철수하고 돌아온 겁니다.

[이종인/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 : 구한다고 와서 못 구하고 가서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기대를 저버려 죄송합니다.]

다이빙벨은 오늘 새벽 민간 잠수사 3명을 태운 채 23미터 아래 선체 4층 배꼬리 부분에 투입돼 1시간 45분을 물속에 머물렀지만, 20여 분 동안 객실 복도를 5m 정도 수색하는 데 그쳤습니다.

업체 대표 이종인 씨는 다이빙벨 속에서 잠수사가 빵을 먹을 정도로 잠수 시간이 연장됐지만 교체할 잠수사가 없어 철수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해경과 해군에는 잠수요원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이 씨는 다이빙벨은 처음부터 생존자 구조를 위한 장비였고 희생자 수습이 목적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종인/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 : 실종자를 수색해서 모시고 나오는 게 이 작업의 목적이에요. 그런데 그 결과가 없었기 때문에 이건 실패죠.]

잠수시간이 길어진다는 장담에 기대를 품었던 실종자 가족들은 허탈해했습니다.

[실종자 가족 : 실종자 가족분들 데리고 장난친 거 같아요. 자식들은 배 안에 있는데…부모로서 너무 가슴 아파요.]

이 씨는 수색 초기부터 해경이 다이빙벨 투입을 막고 있다고 주장해 논란을 키웠습니다.

실종자 가족들의 강력한 요구에 해경이 허용한 다이빙벨 투입은 결국 기능과 성능을 둘러싼 논란만 남긴 채 성과없이 끝났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 륭, 영상편집 : 남 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