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하철 화재, 세월호 참사…반복되는 판박이 실수

<앵커>

대형 재난 사고가 터질 때마다 우리는 뼈아프게 반성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고민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그 뿐, 또 대형 사고가 터지면 어설픈 대처와 구조 속에 골든타임을 흘려보내며 수많은 생명을 놓치고 맙니다. 반복되는 잘못, 이번 사고와 11년 전 대구 지하철 참사를 비교했습니다.

이경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전동차 안에서 불이 난 시각은 오전 9시 52분이었습니다.

지하철 종합지령실은 119신고는 미룬 채 대피방송만 되풀이했습니다.

불길이 확산 된 지 5분이 지나서야 신고가 접수됐지만, 소방대원들은 승객 구조는 엄두도 내지 못했습니다.

지하철공사와 소방서가 피난 경로 같은 승객대피 정보를 공유하지 못했던 겁니다.

세월호 참사도 그때와 비슷합니다.

세월호가 제주 관제센터에 신고한 시각은 오전 8시 55분, 사고지점에 가까이 있어 초기대응이 쉬웠던 진도 관제센터는 11분이 지난 뒤에야 상황을 인지했습니다.

[전상중/전 해군제독 : 이번 같은 경우도 사실은 위기 상황을 미리 감지 했다고요. 스스로 조치하느라고 시간을 보내버린단 말이죠.]

지휘체계의 엉성함도 닮아있습니다.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주무 부처는 옛 건교부였는데 행자부 장관이 현장을 통제했고, 대책본부장은 대구시장이 맡았습니다.

이번에도 주무부처인 해수부와 구조에 나선 해경, 안행부가 혼선을 빚은 데 이어 범정부 대책본부까지 설립됐습니다.

민관 협력은 시너지 효과는커녕 갈등까지 빚어졌습니다.

[최병수/민간 잠수사 : 체계적인 것도 하나도 없고, 이런 식이면 어떤 사람이 어떤 민간 봉사단체가 오겠냐고.]

[고명석/범정부사고대책본부 대변인 : 심지어는 입수도 안 한 채 사진만 찍고 돌아가는 분(민간 잠수사)도 계셨습니다.]

이런 총체적 문제의 개선은 의식과 시스템의 변화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6권이나 나온 재난백서를 지금처럼 국가기록원 소장물로 둘 게 아니라 담당자들이 수시로 보고 대응 매뉴얼을 숙지해야 합니다.

동시에 온갖 본부가 난무하고 실무와 행정이 따로 노는 재난 대응 시스템을 치밀한 연구용역을 통해 재구성해야 할 것입니다.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