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치의 주사위 '여론조사'…"만능 아니다" 비판

<앵커>

새정치민주연합은 기초공천 방침을 결정하는데 여론조사를 활용했습니다. 새누리당은 제주지사 후보를 여론조사로만 뽑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정당의 의사 결정을 여론조사에만 기대는 것, 괜찮은 건지 짚어봤습니다.

진송민 기자입니다.

<기자>

중요한 정치적 결정을 여론조사에 맡긴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정몽준 두 후보의 단일화였습니다.

불과 4.6%P 차이의 여론조사 결과가 한국 정치의 운명을 갈랐습니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당시 이명박 후보는 당원투표에선 뒤졌지만, 여론조사에서 앞서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이후 우리 정치권에서는 공직후보자 공천은 물론 정당의 정책과 노선을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일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권 획득을 목표로 하는 정치적 결사체인 정당의 의사 결정을 당원이 아닌 여론에 의지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정당 정치의 본령을 훼손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질문 내용과 조사 대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 여론조사의 한계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강원택/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 여론의 흐름을 읽기 위한 참고용이라면 모르지만, 중요한 정치적 결정의 수단으로 여론조사가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이 됩니다.]

특히 여야 가릴 것 없이 선거일이 임박해서야 공직 후보자를 뽑는 게 관행이 되면서, 여론조사 만능주의가 정착된 만큼 최소한 선거일 서너 달 전에 후보를 확정하게 하면 여론조사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