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만 건 정보 유출…금융당국 '뒷북 대책' 논란

<앵커>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살 때, 카드 결제할 때 사용하는 포스 단말기 해킹으로 20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돼 계좌에서 돈이 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예견된 사고였는데, 금융당국의 대책은 뒷북만 치고 있습니다.

이홍갑 기자입니다.

<기자>

[2월 5일 8 뉴스 :  카드 단말기에 악성코드를 심어서 정보를 빼내간겁니다. 한국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월, 포스 단말기 해킹으로 10개 카드사에서 20만 건이 넘는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동안 정보 유출 피해가 드러나지 않았던 신한카드를 비롯해 국민카드와 농협카드, 그리고 일부 은행의 고객정보입니다.

빼낸 정보를 이용해 만든 위조카드로 268명의 계좌에서 모두 1억 2천만 원이 빠져나갔습니다.

위험이 예고됐는데도 단말기 교체 비용을 이유로 대책에 미온적이던 금융당국의 안이한 대처가 화를 키운 겁니다.

금감원은 부랴부랴 소비자경보를 발령했습니다.

[박상춘/금융감독원 여신전문검사 부국장 : 신용카드의 비밀번호는 포인트 카드나 제휴사 카드 비밀번호하고 다르게 사용해야 하고, 신용카드의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피해 예방을 할 수 있는 길입니다.]

또 고객정보가 유출된 카드에 대해 부정 사용 의심거래를 철저히 감시하라고 긴급 지시했습니다.

65만 개 영세가맹점의 포스 단말기 교체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피해가 난 뒤에야 뒷북 대책에 허둥대는 금융당국을 바라보는 정보 유출 고객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