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맥 없이 무너진 경주 체육관, 구조 살펴보니…

<앵커>

정밀 감식 작업이 진행되면 정확한 붕괴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지금으로선 가운데 기둥이 없는 건물 구조와 눈이 켜켜이 쌓이는 평평한 지붕 모양이 화를 키웠단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윤식 기자입니다.

<기자>

체육관 건물은 지붕 중앙이 바닥에 털썩 주저앉는 형태로 무너졌습니다.

건물은 철제 구조물을 먼저 세우고 외벽에 샌드위치 패널을 붙이는 이른바 PEB 공법으로 지어졌습니다.

패널 가격이 싸고 공사 기간이 짧은데다 무엇보다 중앙 기둥이 없어 내부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다는 것이 강점입니다.

하지만 천장을 받쳐주는 기둥이 없다 보니 지붕의 무게를 버티는 힘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지붕의 경사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무너진 체육관 지붕의 경사도는 9도로 사실상 평면이나 다름없습니다.

폭설이 계속되면서 눈이 차곡차곡 쌓여 무게가 더해졌습니다.

[박홍근/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PEB 공법은) 일반 구조물의 구조보다 다소 약하기 때문에 거기에 폭설이 조금만 내려서 과하게 하중이 걸리면, 그것이 아주 치명적인 하중으로 작용할 수가 있습니다.]

지붕의 적설하중 기준이 지나치게 약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같은 조건의 건물이라면 눈이 많이 오는 울릉도보다 평소 적설량이 적은 울산의 적설하중 기준은 14분의 1에 불과해 폭설에 취약합니다.

[국토교통부 직원 : 눈이 많이 왔기 때문에 무너졌는데 과연 그게 (적설하중) 기준의 문제냐 아니면 어떤 시공방법의 문제냐 아니면 공법의 문제냐 이런 것들은 조사를 통해서 밝혀내야겠죠.]

시공 과정에서 정품 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등 설계도와 다르게 부실 공사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