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시아 정정불안 '도미노'…민주주의 진통?

태국·캄보디아·방글라데시 반정부 시위 잇따라

<앵커>

동남아와 서남아 나라들이 불안한 정정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태국의 반정부 시위는 해를 넘겨 계속되고 있고 캄보디아에선 정부가 반정부 시위대에 발포하면서 유혈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방글라데시에선 반정부 진영이 총선 무효를 선언하면서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민주주의 성숙 과정의 성장통이긴 하지만 희생이 너무 큽니다.

김영아 기자입니다.



<기자>

죽창을 든 시위대가 함성을 지르며 달려갑니다.

고무탄을 쏘며 진압에 나선 경찰을 상대로 시위대는 돌을 던지며 격렬히 맞섭니다.

지난 5일, 야권의 거부에도 불구하고 여당이 반쪽 총선을 강행하자 방글라데시 시민들이 저지에 나선 겁니다.

이 과정에서 18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선거가 끝난 뒤에도 야권과 반정부 시위대는 선거 무효를 선언하며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카말 호사인/반정부 시위 참가자 : 이런 선거는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의회를 해산하고 제대로 된 선거를 치러야 합니다.]

캄보디아에서는 훈센 정부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에 노동계까지 가세하면서 지난 주말에만 5명이 숨졌습니다.

28년에 걸친 훈센 총리의 장기 집권에 대한 염증도 시위의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지난달 초 유혈사태를 빚었던 태국의 반정부 시위는 갈수록 격화하고 있습니다.

시위대는 다음 달 2일로 예정된 총선을 막기 위해 수도 방콕 전역을 마비시키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수텝 전 부총리/반정부 시위 지도자 : 방콕 중심부를 완전히 마비시키겠습니다. 시민들이 조금 불편을 겪더라도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공교롭게도 세 나라 모두 정정 불안의 중심엔 선거가 있습니다.

힘이 있으면 돈으로 표를 사고 질 것 같으면 아예 선거를 거부하는 정치권의 구태 탓입니다.

높아진 교육수준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급성장한 국민들의 민주적 요구를 정치권이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이상국/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 이동통신 보급률이 거의 100%에 이르고 스마트폰 사용자도 인구의 50%에 이를 정도로 많이 늘었습니다.]

선거라는 제도적 장치는 마련돼 있지만 제대로 기능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직도 시스템보다는 특정 정치인, 특정 가문 중심으로 국가가 운영되는 후진적 정치 행태도 일부 아시아 국가들이 민주주의 진통을 앓는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영상편집 : 이승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