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오빠들이 돌아와 행복했던 2013년, 굿바이

[취재파일] 오빠들이 돌아와 행복했던 2013년, 굿바이
 음악을 원없이 들을 수 있었던 지난 한 해는 참 행복했습니다. 음악을 들을 때 눈치보지 않아도 됐고, 그동안 잘 듣지 않았던 재즈와 국악을 다시 발견하게 된 건 행운이었습니다. 새 음반을 내고, 공연을 통해 팬들과 소통하는 음악가들을 만난 것도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누군가의 음악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자주 만나는 음악 만큼은 여러번 씹고 음미하면서 온전히 즐기는 법을 배웠습니다. 

 2013년에는 노장의 귀환이 반가웠습니다. 국내 음반 시장은 조용필의 19집 '헬로'를 빼놓고 한 해를 정리할 수 없을 겁니다. 10년 만에 나온 음반인데 단번에 귀를 사로잡았습니다. 60대 노장 가수의 음악이 이렇게 세련될 수 있을까요. 2,30대 밴드처럼 , 아니 그보다 더 정교했고, 뮤직비디오는 신선했습니다. 무대 밖에선 말수도 적었지만, 무대에서는 관객들을 압도하는 카리스마 포텐이 터집니다. 4,50대 오래된 팬 뿐 아니라 1,20대 팬까지 끌어들여 앨범을 25만장이나 팔아치웠습니다.

 조용필 보다 한달 앞서 영국의 록스타 데이빗 보위도 10년 만에 새 앨범 '더 넥스트 데이(The Next day)'를 내놨습니다. 나이도 66살, 비슷합니다. 예전만큼 화려하진 않지만, 보위의 음악은 특유의 어두운 울림이 있습니다. '웨어 아 위 나우?(Where are we now?)가 특히 그렇습니다. 가사는 진중하고 보컬은 담담합니다. 
데이빗

가끔은 아마추어같은, 손질이 더 필요한것 같은 느낌의 곡들도 있었지만 왠지 그런 곡들에 더 끌렸던 적도 있습니다. 여튼 데이빗 보위의 새 음반도 발매 동시에 전세계 아이튠스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젊은 팝스타 못지 않은 저력을 보였습니다.

 한 명 더, 엘튼 존의 30번째 앨범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더 다이빙 보드(The Diving Board)'에 담긴 15곡은 그냥 다 좋았습니다. 이건 달리 표현할 방법을 못 찾겠습니다. 국내 가요 밖에 모르는 어른들께도 '오션스 어웨이(Oceans Away)'와 '홈 어게인(Home Again)'은 추천했던 곡입니다. 엘튼 존의 피아노 연주는 워낙 편한 느낌을 주는데다, 가사와 보컬이 전체적으로 어른스러운 분위기를 물씬 풍깁니다.
앨튼존
 하루에도 여러번 음원 차트 순위가 요동을 치고, 노래 한 곡이 1위를 차지하는 수명도 길지 않습니다. '몇 주 연속 1위' 이런 표현은 들어본 지도 오래됐습니다. 조용필의 19집 앨범이 1위를 한 건 길어야 한 달 정도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싸이의 신곡 '젠틀맨'과 비슷한 시점에 발표돼 1위를 놓고 순위가 오르락내리락 했습니다. 하지만 조용필의 등장만으로 팬들이 비명(?)을 지르는 건 무엇보다 그의 무대가 반가웠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너무 빨리 변해서 자고 일어나면 이미 오랜 과거의 일이 돼 버리지만, 눈 앞에 펼쳐진 조용필의 무대는 젊은 시절 느꼈던 열정이 지금도 몸 속에 남아있다는 걸 다시금 느끼게 한답니다.

 그렇게 신나게 소리지르고 나면 어차피 또 현실이지만, 그래도 3분 30초에서 4분 남짓 아무 생각없이 웃고 떠들 수 있는 노래가 있다는것 자체가 행복 아닐까요. 잠재된 열정을 깨워 준 노장들의 귀환이 반가웠습니다. 올해는 어떤 음악이 우릴 춤추게 만들까요. 2014년도 기대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