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공기간 자산 매각 계획 시한 '빠듯'

공공기관 개혁, 정교한 추진 계획 필요

<앵커>

그러니까 정부 요구의 핵심은 팔릴만한 가치가 있는 자산을 우선 매물로 내놔서 막대한 빚부터 줄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알짜 자산을 급히 팔려다 보면 이런 저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게 문제입니다.

김범주 기자입니다.



<기자>

자금난에 시달리는 대기업들의 생존전략은 최근 핵심자산 매각으로 모아져 있습니다.

현대와 동부그룹은 핵심 계열사와 부동산 등 각각 3조 원대 자산을 내놓으며 위기를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습니다.

정부는 공공기관들도 이렇게 돈이 되는 핵심 자산부터 팔아서 빚을 갚으라고 압박하는 겁니다. 문제는 정상화 계획을 낼 시한이 불과 한 달 남짓이라는 점입니다.

공공성을 정밀히 판단해 매각 대상을 정하기에는 빠듯한 시간입니다.

알짜 자산의 헐값 매각 우려도 큽니다.

[공공기관 관계자 : 서둘러서 팔다 보면 본의 아니게 싼 가격에 팔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 형국이 되면은 사실 또 나중에 문제잖아요.]

정부가 정한 중점관리 공공기관 12곳의 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605조 원이나 되는데, 이 가운데 상당한 규모의 우량 자산들이 한꺼번에 매물로 나오면 제값을 받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자칫 민간 기업의 구조조정마저 어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개혁이 시급한 과제이기는 하지만, 일률적으로 시한을 정하고 목표를 밀어붙이기보다는 시장의 상황을 돌아보며 정교한 추진 계획이 앞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