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회적 기업 1000곳 돌파, 자생력 키우려면…

자체 수익 모델 개발 어려워

<앵커>

착한 순환이 이뤄지는 사회적 기업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나누는 문화를 확산시키면서 일자리도 늘린다는 긍정적인 면이 많지만 정부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조 정 기자입니다.



<기자>

[화환하고 쌀 교환권 전달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기부 원하세요?]

주문받을 때 쌀 기부 의사까지 물어보는 이곳은 쌀 화환 배달업체입니다.

10만 원짜리 주문을 받으면 모형 쌀 포대가 든 화환을 배달하고 3만 원어치 쌀을 구입해 고객이 지정한 곳에 보내 줍니다.

고객이 지정하지 않을 때는 불우 아동이나 독거 노인 등 취약계층에게 전달합니다.

[강진원/나눔스토어 대표 : 칠순 잔치에 초대 받아 갔는데 그분들은 화환을 안 받고 쌀을 받아서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하는 걸 보면서 '아 이게 참 좋은 아이디어다.']

이 회사는 오늘(25일) 1천 번째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았습니다. 도 시행 6년만입니다.

사회적 기업으로 지정되면 소득세가 절반으로 인하되고 인건비 등 다양한 지원을 받습니다.

하지만 사회 공헌과 수익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는 쉽지 않습니다.

지난 6년간 68곳이 문을 닫았고 경영난을 겪는 곳도 많습니다.

정부 지원을 믿고 자체 수익 모델을 개발하지 못한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조주연/부도위기 극복 사회적기업 대표 : 매출도 어느 정도 성장은 했다, 이렇게 했지만 그걸 자금 운영 계획을 제대로 못 잡으면서 큰 실책이 나오거고요.]

정부 지원이 인건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도 문제입니다.

[방하남/고용노동부 장관 : 인건비 지원에 주로 치중을 해왔는데, 자생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점차 줄여가고 정부에서는 판로 지원 특별히 공공금액 쪽에서.]

사회적 기업이 1천 곳에 이른 만큼 정부의 정책도 양적 확대에서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질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영상취재 : 인필성, 영상편집 : 박정삼, VJ : 유경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