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권력 투입에 철도 파업 새 국면…최대 변수는?

<앵커>

두 주째 계속된 철도파업은 오늘(22일) 공권력 투입으로 새 국면을 맞게 됐습니다. 그동안 파업에 참가했다가 업무에 복귀한 인원은 천명 남짓으로 오늘까지 업무 복귀율은 12% 정도입니다. 하지만 열차를 직접 운행하는 기관사의 업무 복귀율은 1%가 채 안 돼 파업 장기화의 최대 변수입니다.

유병수 기자입니다.



<기자>

철도 노조의 파업 이후 정부의 대응은 파업의 명분을 약화시키는 데 모아졌습니다.

수서발 KTX 자회사의 민영화 가능성을 부총리와 대통령까지 나서 부인했고 국토부는 조건부 면허까지 약속했습니다.

[서승환/국토교통부 장관 : 지분의 일부라도 민간에 매각하는 경우에는 면허가 취소되도록 하는 더 확실한 민영화 방지 장치를 마련할 것…]

정부는 파업의 명분이 약화된 만큼 노조 지도부가 와해되면 파업의 동력이 약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조는 파업 철회는 없다며 강경한 입장입니다.

[최은철 철도노조 대변인/경찰 진입 전 : 투쟁 계획들이 쭉 있어서 그 일정들을 소화해 나갈거고 다음주 주말쯤 현재 3차 상경투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시민, 사회 단체와 정치권까지 파업 사태에 관여하려는 움직임도 해법을 찾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강경 대치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번 주가 사태 해결의 분수령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주 중반 수서 발 KTX 법인에 대해 면허가 발부되면 법적인 절차가 마무리돼 이를 되돌리기가 사실상 어려워집니다.

또 승객 불편과 물류난이 가중되는 상황이 노조 측에 주는 부담도 적지 않습니다.

협상하면서 실리를 찾자는 현실론에 파업 사태 해결의 기대를 걸 수 있는 겁니다.

지난 2009년 파업 때는 교통 불편 등으로 여론이 악화되는 가운데 노조가 8일 만에 전격적으로 파업 철회를 선언했었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양두원,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