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헬기 충돌 아파트 '항공장애등' 꺼져 있었다

강남구청 한 번도 점검 안해

<앵커>

서울 삼성동 아이파크에 헬기가 충돌했을 때 이 아파트의 충돌을 방지하는 항공장애등이 꺼져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걸 관리 감독해야 돼는 강남구청은 단 한 번도 점검을 하지 않았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기자>

사고가 난 아파트의 항공장애등은 원래 일출과 일몰 시각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켜졌다가 꺼지게 돼 있었습니다.

그런데 자동점멸 시스템이 사고 전날 고장 났던 것으로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사고 조사에 나선 경찰은 "사고 당일 아침 8시에 아파트 관리 직원이 수동으로 항공장애등을 껐으며 그 이후 다시 켜지는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밤에는 물론, 낮이라도 안개가 끼거나 시정이 5000m에 못 미치면 켜놔야 하는데, 일출 시각에 맞춰 수동으로 등을 꺼놓고는 그대로 있었던 겁니다.

[국토교통부 사고조사단 : '항공장애등'이에요. 건물 멋 내려고 하는 게 아니고 비행기들한테 (피해 가라는) 경고를 하는 목적이 있는 등이거든요. 때문에 (낮에도) 켜야만 되는 거죠.]

관리 감독도 문제였습니다. 항공장애등은 안전과 직결된 문제라 지자체가 관리 감독하게 돼 있지만, 강남구청은 사고가 난 아이파크 아파트는 물론이고 관내에 있는 다른 고층 건물의 항공장애등 상태를 지금까지 한 번도 점검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강남구청 담당 공무원 : 강남은 그렇게 높은 건물 없어요. 중구나 종로가 많죠. (항공장애등 점검은) 저는 해본 적이 없어요.]

서울시는 뒤늦게 시내 고층 건물에 설치된 항공장애등 159개를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