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노인 빈곤률 OECD 1위…연금보단 일자리가 우선

<앵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OECD 1위입니다. 은퇴 후의 삶이 팍팍한데, 연금만으론 턱없으니 결국은 일자리로 풀어야 할 겁니다.

남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애완동물 장례 서비스 업체입니다.

직원 17명 가운데 14명이 60살 이상의 어르신들입니다.

일이 힘에 부치지 않고 처우도 좋은 편입니다.

정부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최달순(65세)/은퇴 후 재취업 : 실수령액으로 120(만 원) 정도. 그리고 또 우선 4대보험이 되니까 그것도 크잖아요.]

보건복지부는 재작년부터 고령자 친화기업을 선정해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년 동안 선정된 업체가 24곳, 일자리 갯수로는 1천 200여 개에 불과합니다.

직원 70% 이상을 고령자로 채용해야 하는 등 선정조건이 까다롭고, 최초 창업자금 지원에만 그쳐 유인책이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좋은 일자리 창출이 막히면서 결국 3D 업종에 몰리는 게 노인 일자리의 현주소입니다.

이런 상황을 연금이 보완해줘야 하지만 국민연금 수급자는 전체 노인의 28%에 불과하며 금액 역시 미미합니다.

정부가 약속한 기초연금 20만 원을 더해도 최저생계비에 턱없이 모자랍니다.

[서병수/한국빈곤문제연구소 소장 : 사각지대 생기고 빈곤한데도 도움을 못 받는 케이스가 생기는 거죠. 그 규모가 너무 크다는 거죠.]

노인들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이 노인빈곤 해소의 관건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이재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