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자만 봐도 결제된다?…피해 이렇게 막으세요!

<앵커>

휴대전화 개인 정보를 빼 간 뒤에 돈까지 뺏어가는 스미싱이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불편하더라도 이런저런 신경 쓸 것들이 있습니다.

유성재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김형락/직장인 : 지인이랑 이름이 비슷할 경우에 조금 진짠가? 라는 생각은 할 때도 있어요.]

문자 메시지를 그냥 열어보기만 해도 소액 결제로 돈이 빠져나간다는 소문도 돌지만, 단순히 문자를 열어보는 걸로 금전적 피해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스미싱 앱으로 결제 인증 번호가 담긴 문자 메시지를 가로채야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는데, 앱이 설치되지 않으면 결제를 시도해도 인증번호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자에 담겨 있는 인터넷 주소는 웬만하면 클릭하지 않는 게 안전합니다.

또 공식 앱 장터가 아닌 곳에서 앱 설치를 요구해도 스미싱을 의심해야 합니다.

[전인경/한국인터넷진흥원 팀장 : 스미싱으로 배포된 앱은 대부분 다 신뢰할 수 있는 앱이 아니라 블랙마켓, 신뢰할 수 없는 앱에서 내려오거든요. 출처가 불분명한 앱을 차단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만 설치를 해두셔도 스미싱 피해는 상당 부분 예방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 관계 기관과 통신사들은 발신 번호로 스팸 문자를 걸러주는 보안 앱을 배포하고 있지만, 번호는 발신자가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내용을 보고 차단하는 방향으로 기능을 보완 중입니다.

문자 메시지에 인터넷 주소가 있는 경우 사이트를 미리 검사해 스미싱 여부를 판단하고, 악성 앱 설치에 사용된 인터넷 주소를 최대한 많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클릭을 막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만약 무심코 스미싱 앱을 설치했다면 연락처 등 주요 자료를 따로 백업받은 뒤 휴대전화를 초기화하고, 소액 결제 피해가 있으면 경찰서에서 피해 사실을 확인받아 통신사에 환불을 요청합니다.

미리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휴대전화 소액 결제를 막거나 금액을 최소한으로 줄여 놓는 것도 방법입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박진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