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있으나 마나 한 여성주차장…남성 운전자가 점령

<앵커>

여자에게 양보하라는 여성 전용 주차장. 살펴보니 남녀구분 자체가 무의해보였습니다. 실효성 없는 여성 전용 주차장, 이대로 괜찮을까요?

엄민재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동대문구청 지상 주차장.

대부분 여성 우선 주차장입니다.

구청에 들어와 차를 대는 운전자들.

상당수가 남성들입니다.

[여기 여성 우선 주차장으로 돼 있잖아요.]

[운전자 : 아, 제 아내가 (차를) 댄 거예요. 지금 차 빼달라고 해서 나가는 거예요.]

지하에 따로 일반 주차장이 있지만 그냥 여성 주차장에 대는 겁니다.

[운전자 : 여자는 뭐 특별한가요? 남자가 많이 오지 여자가 많이 오지는 않잖아요.]

남성들이 차지해 버리다 보니 여성 운전자들로서는 불만입니다.

[박경화/서울 역촌동 : 거의 자리가 없더라고요. 대고 싶어도.]

서울시는 지난 2009년 조례를 신설해 주차 규모가 30대 이상인 주차장엔 전체 10% 이상을 여성 우선 주차장으로 조성하게 했습니다.

서울시청은 어떨까?

지하 주차장에서 지켜봤습니다.

분홍색 여성 우선 주차장에 차들이 들어서는데 역시 남성들입니다.

[운전자 : (이거 보신 적 있으세요? 여성은 분홍색으로 돼 있어서.) 아, 그래요? 미안합니다.]

6월 현재 서울에 설치된 여성 우선 주차 구역은 4만 1천 개에 이릅니다.

이 가운데 어디를 가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아직은 이른 시각이지만 이곳 여성 우선 주차장엔 벌써부터 차들이 군데군데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바로 앞 일반주차공간이 비어 있는데도 별다른 인식 없이 주차를 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위반해도 별도의 처벌 규정이 없다 보니 있으나 마나입니다.

[내부적으로 문제의식은 있는지?]

[서울시청 직원 : 그렇죠. 개선 방향은 정확히 나온 건 없지만, 검토는 해서…필요성은 있다고 저희도 느끼고 있어요.]

최근 일부 지자체는 임신부에 한정해 전용 주차장을 마련하는 방법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안상훈/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임신부에게 오히려 따로 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 아마 모든 여성들을 위한, 그것도 강제 규정도 없는 그런 공간 보다는 아마 더 효율적인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실효성 없는 여성 우선 주차구역을 고집하지 말고 더 효율적으로 주차구역을 배분하자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