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배불러도 자꾸 찾는 명절 음식…주의할 점은?

<앵커>

송편과 동그랑땡, 산적 같은 명절 음식 만들 때 공통적으로 기름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기름진 음식이 가진 중독성 있다고 느껴보신 적 있으십니까? 살찌는 것 말고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명절 음식은 만들 때부터 자꾸 손이 갑니다.

[이순남/서울 고덕동 : 지글지글 소리가 나니까 먹고 싶은 생각이 들잖아요. 먹어 봤더니 너무 고소하고 아주 맛있어요.]

명절 한 끼 식탁의 평균 열량은 1300킬로칼로리, 평소보다 두 배 정도 높습니다.

기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인데 문제는 기름진 음식이 중독성이 있다는 겁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결과 기름진 음식은 뇌의 특정 부위를 활성화 시키는데 이 부위가 활성화되면 기름진 음식을 더 찾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임신부가 기름진 음식에 중독되면 태아까지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임동옥/임신 8개월 : 잡채. (좀 기름지지 않나요?) 기름지긴 하죠. 이때 아니면 다이어트에 신경 쓰지 않고 맘껏 먹을 수 있는 때는 없거든요.]

미국 프린스턴 대학은 임신한 쥐를 대상으로 한 집단에는 지방 성분이 25%인 식사를 주고 다른 집단에는 지방 성분을 두 배 높여 주었습니다.

지방을 많이 섭취한 어미 쥐에서 태어난 쥐는 자라서 알코올 중독 위험성은 2배 암페타민 같은 향정신성 약물 중독 위험성은 5배나 더 높았습니다.

태아 혈액에 지방질이 높으면 뇌하수체를 변화시켜 술과 향정신성 약물을 좋아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입니다.

여드름 환자도 주의해야 합니다.

[유박린/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교수 : 우리나라 명절 음식은 칼로리도 높고 기름지고 당이 높습니다. 이런 음식들을 먹으면 혈당 수치가 높아지고, 이런 혈당 수치가 높아지는 것은 여드름의 유발 원인으로….]

때문에 명절 식탁에서 기름진 음식의 비율을 25% 이하로 줄이는 게 좋습니다.

(영상취재 : 김흥식,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