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약국마다 제각각 '고무줄 약값'…이유는?

<앵커>

분명 같은 약인데 가격이 제작각이라 어리둥절했던 경험, 있지 않으셨나요. 심지어 바로 옆 건물에 있는 약국에서도 가격 차가 심한데요.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 남정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신사동의 한 피부과에서 여드름 치료약을 한 달치 처방받고 근처 약국에 들렀습니다.

[1만 9천 7백 원이요.]

바로 옆 건물에 있는 약국에서는 가격이 36%나 올라갑니다.

[(2만 6천 7백 원이요?) 이 부근에서는 제일 싸요.]

감기약이나 소화제, 연고류처럼 이런 처방전이 없어도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은 어느 동네, 어느 약국에 가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연고는 3천 원에서 4천 500원, 비타민 제제 한 통은 1만 8천 원에서 2만 7천 원까지 천차만별입니다.

지난 1999년부터 시행된 판매자 가격표시제 때문입니다.

병원 처방약 가운데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약품과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 의약품 가격은 약국이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제약사나 도매상에서 들어오는 원가에 마진을 붙이는데 일반적으로 경쟁이 심한 곳은 싸고 그렇지 않은 곳은 비쌉니다.

판매 가격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함께 제조 원가와 유통 과정의 가격 변동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