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르는 게 값"…동네마다 다른 약값, 왜?

<앵커>

분명 같은 약인데 약국마다 부르는 값이 다 다릅니다. 이 마시는 감기약은 서울 종로구에 있는 약국에선
400원인데 양천구에 가면 최고 1천 원까지 오릅니다. 같은 동네 약국이라도 가격 차가 심합니다.

남정민 기자가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신사동의 한 피부과에서 여드름 치료약을 한 달 치 처방받고 근처 약국에 들렀습니다.

[1만 9천700원이요.]

바로 옆 건물에 있는 약국에서는 가격이 36%나 올라갑니다.

[(2만 6천700원이요?) 이 부근에서는 제일 싸요.]

감기약이나 소화제, 연고류처럼 이런 처방전이 없어도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은 어느 동네, 어느 약국에 가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연고는 3천 원에서 4천500원, 비타민 제제 한 통은 1만 8천 원에서 2만 7천 원까지 천차만별입니다.

지난 1999년부터 시행된 판매자 가격표시제 때문입니다.

병원 처방약 가운데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약품과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 의약품 가격은 약국이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제약사나 도매상에서 들어오는 원가에 마진을 붙이는데 일반적으로 경쟁이 심한 곳은 싸고 그렇지 않은 곳은 비쌉니다.

정부는 자율 경쟁을 통한 가격 인하라는 약값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대형 약국의 배만 불리고, 소비자들은 가격 비교가 어려워 혼란만 가중되고 있습니다.

[강봉윤/대한약사회 홍보이사 : 비용을 가지고 적정하게 산출해서 적정한 마진을 붙여 정가를 붙인다면 국민들도 의약품을 신뢰할 수 있을 테고….]

[남은경/경실련 사회정책팀장 : 가격비교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대체적인 가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좀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판매 가격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함께 제조 원가와 유통 과정의 가격 변동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설치환,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