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월드리포트] 포스트 버냉키는 누구인가?

FRB 의장 후임 임명을 둘러싼 월가의 복잡한 속내

[월드리포트] 포스트 버냉키는 누구인가?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의장은 프린스턴대 교수 출신이다. 그는 한달 전 프린스턴대 졸업식에서 연설하면서 위트있는 농담으로 학생들의 폭소를 자아냈다.

  "내가 FRB 의장을 그만두면 다시 교수로 돌아갈 수 있는지 여기 온 김에 학교 측에 조심스럽게 물어봤습니다. 하지만 '훌륭한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많다'는 대답만 들었습니다."

  버냉키는 2006년부터 미국 통화당국의 수장을 맡았고 내년 1월에 임기를 마친다. 연임도 가능하지만 이젠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힌 것이다. 그렇다면 버냉기의 의장 재직기간은 8년이 된다. 전임인 앨런 그린스펀처럼 장기 집권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그린스펀은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무려 18년 동안 FRB 의장을 맡았다.

  미국의 중앙은행은 우리가 흔히 듣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이다. 연준은 미국 각 지역에 모두 12개가 있고 워싱턴의 이사회 즉 FRB가 총괄한다. 7명 이사의 수장이 바로 FRB 의장이다. 형식은 중앙은행이지만 각 지역의 연준의 대주주가 실제로는 미국의 민간은행들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출자는 민간금융사들이 하지만 총괄은 정부가 하는 이런 묘한 시스템은 중국학자 쑹홍빈의 베스트셀러 '화폐전쟁'의 내용처럼 숱한 음모론이 제기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FRB 의장은 대통령이 지명한다. 하지만 상원의 인준을 받는다. 사실상 대통령에게 임명 권한이 있지만 정치적 환경에서 자유롭지 않다. 월가의 정계로비는 집요하기로 유명하고 지금까지 월가가 원하지 않은 인물이 임명된 적은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역사를 보면 독자적이고 개혁적인 금융정책을 시도한 역대 대통령들 상당수가 불행한 경험, 심지어 암살되거나 병사한 경우가 많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호사가들은 가끔 유대계 은행가들이 배후에 있다는 소설같은 음모 시나리오를 제기하곤 한다.

   쟁쟁한 후보들…2파전 격돌 중?

  오바마 대통령은 오는 8월 혹은 9월에 버냉키의 후임자를 지명할 전망이다. 하마평에 오른 인물들을 간단히 살펴보자.

자넷 옐런
- '성장 중시' 자넷 옐런 (67) : 현 FRB 부의장이다. 하버드 교수 출신의 여성으로 버냉키의 추천으로 연준 이사가 된 그녀는 오바마 경제정책의 핵심인 양적완화의 중심인물이다. 본인은 예일대 박사 출신으로 남편은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조지 애컬로프이다. 옐런은 선명한 케인즈주의자로 고용을 중시한다. 실업률을 낮추기위한 통화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버냉키 현 의장과 의견이 같다. 따라서 옐런이 된다면 현재의 미국 통화정책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로렌스 서머스
- '통화 안정' 로렌스 서머스(59) : 전 하버드대 총장이고 클린턴 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냈다. 오바마 행정부의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으로 일했고 개인적으로 오바마와 친분이 깊다. 친 시장적 인물이다. 하지만 하버드대 총장 시절 "여성이 선천적으로 남성보다 수학과 과학을 못한다"고 말했다가 결국 사임하기도 했다. 강한 개성의 소유자여서 오바마나 의회가 껄끄러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티모시 가이트너
- '오바마 1기 경제장관' 티모시 가이트너 : 오바마 1기 내각에서 경제정책을 이끌었고 뉴욕 연방은행 총재를 지낸 적임자지만 본인이 뜻이 없다는 소식도 들린다.

스탠리 피셔
- '버냉키의 스승' 스탠리 피셔 : 귀화한 미국인으로서 현재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인 스탠리 피셔도 후보로 거론되는데 피셔는 버냉키의 하버드대 스승이기도 하다. 그가 된다면 제자의 자리를 스승이 이어받는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로저 퍼거슨
- '그린스펀의 복심' 로저 퍼거슨 : 앨런 그린스펀 전 의장 밑에서 FRB 부의장을 지냈던 로저 퍼거슨도 주목받고 있다. 무엇보다 그는 흑인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고려가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그린스펀도 퇴임 당시 퍼거슨을 후임으로 추천하기도 했다.

  '소문의 시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월가의 분위기는 옐런과 서머스의 2파전으로 압축되는 듯 하다. 무엇보다 옐런은 현재의 양적완화 정책을 떠받쳐온 중심인물이다. 버냉키도 그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고 무엇보다 증시의 안정을 원하는 월가가 그녀의 임명을 기대할 것이라는 점도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엔 오바마의 마음이 서머스에게 기울었다는 소문이 들린다. 서머스는 정치권 인맥이 두텁지 않은 옐런에 비해 여당 고위참모들과 친분이 깊다는 평가도 나온다.

   월가의 복잡한 속내는?

미국경제 월가
  표면적인 구도를 볼 때는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옐런 부의장을 월가가 반길 것으로 보이지만 속사정은 다를 수 있다.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중시하는 옐런은 실제로는 월가가 아닌 제조업계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계속된 양적완화는 증시 부양에는 도움이 됐지만 정작 통화가치를 불안하게 만들어 월가 투자회사들이 다량 보유한 채권의 인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 월가가 선호하는 인물은 서머스일 수도 있다. 이런 계산을 의식한 듯 서머스는 최근 "양적완화가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경기에 효과적인 정책이 아니다"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여기서 두가지 변수가 크게 힘을 얻는데, 첫째는 두 후보 가운데 누가 임명되든 어차피 현행 양적완화 규모는 크게 줄일 수 없다는 것이다. 돈 풀기를 줄이면 미국의 국채금리가 당장 오르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미국 정부가 부담하는 국채 이자 액수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에 FRB가 이런 선택을 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둘째는, 미 연준이 양적완화 정책으로 뿌린 돈이 실제 통화로 유통되기 보다는 상당한 액수가 중앙은행에 예탁금으로 묶여있다는 숨겨진 사실이다. 결국 그동안의 통화확장 정책이 기대했던 것처럼 실물경기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양적완화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문제여서 이런 사실이 부각되며 논란이 될 경우 정책의 주도자인 옐런에게 불리하다.

  그렇다면 버냉키의 기조를 이어가기위한 차기 FRB 의장 인선은 큰 의미가 없다. '어차피 통화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버냉키는 서서히 레임덕 현상에 빠지는 모습이다. 미국은 출구전략의 시점을 찾고 있다. 이번 인선은 단순히 사람의 문제가 아닌 오바마 행정부의 경제정책 전환의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월가가 양적완화의 축소시점보다도 FRB 후임 의장의 인사에 눈과 귀를 더 집중하는 이유이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