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악취 없는 가로수 길…'수나무'만 심는다

<앵커>

은행나무는 깊어가는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해주지만 그 악취 때문에 골칫거리였는데요. 냄새의 원인인 열매를 맺지 않도록 아예 암나무 대신 수나무만 심는 지자체가 늘고 있습니다.

박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대전의 한 신축 아파트 단지 앞길입니다.

기존 은행나무를 뽑아내고 다른 은행나무로 바꿔 심고 있습니다.

뽑아낸 나무는 열매가 달린 암나무.

가을철 열매를 맺기 전에 수나무로 바꾸는 중입니다.

[최창수/대전 중구 녹지담당팀장 : 냄새가 굉장히 많이 나거든요. 지금은 도심지 내에서 은행나무가 중금속에 오염 됐다고 해서 지금은 거의 꺼려합니다.]

애초 가로수를 심을 때 수나무만 심으려 해도 방법이 없었습니다.

은행나무는 15년 이상 자라 열매를 맺기까지는 육안으로 암수 구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정원기/은행나무 농원 대표 : 예를 들면 가지가 휘어진 것은 암나무고, 반듯한 것은 수나무라고 하는데 제가 보니까 그게 다 맞지 않아요. 알 수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는 없습니다.]

하지만 2년 전 DNA 분석을 통한 암수구분법이 개발되면서 수나무만 필요한 자치단체나 암나무가 필요한 은행농장 모두 고민이 사라졌습니다.

[홍용표/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 과장 : 수나무는 가로수로만 식재를 하고 암나무는 골라서 농장으로 보내 열매를 생산하는 방법을 이용해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난 5월에는 이곳 세종로에서도 12그루의 은행나무 암나무를 수나무로 바꿔 심었습니다.

도심에서 은행 열매를 줍기는 어려워졌지만 냄새 걱정이나 열매에 미끄러질 걱정 없이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