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보조금 변칙 광고 활개…믿었다가는 덤터기

<앵커>

"자동차 기종변경 29만 5천 원", "호날두 연봉이 29만 원". 뜬금없고 말도 안 되는 문구들인데 이런 글들이 휴대전화 공동구매 사이트에 잠시 떴다가 사라집니다. 실은 휴대전화 보조금을 약속하는 판매점들의 변칙 광고입니다. 이거 믿었다가 피해보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습니다.

한승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신형 스마트폰으로 번호이동을 하려면 얼마가 드는지 물어봤습니다.

[휴대전화 매장 직원 : 최대한 저렴하게 드릴게요, 26만 원 정도. 통신사 신규니까 (보조금이) 조금 더 되죠, 한 70만 원 가까이?]

정부의 보조금 가이드라인 27만 원을 훌쩍 넘는 액수입니다.

전화로 권유하는 업체가 제시하는 조건은 더 솔깃합니다.

[판매직원 : 교체하시면 지금 사용 중이신 단말기 위약금 지원해드리고 새 단말기 할부금을 지원해드리니까요.]

[피해 소비자 : 지금 전화기에 대해서는 10원이라도 낼 건 없다는 거죠?]

[판매직원 : 네 없죠.]

하지만 그대로 믿었다가는 덤터기를 쓸 수밖에 없습니다.

[약정 판매 피해자 : (기존 단말기 할부금이) 90만 원 정도 남았는데, 요금 명세서가 오잖아요. 받아보니 지원은 하나도 안 되고….]

올해 5월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런 피해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넘게 늘었습니다.

판매점에서는 규정 위반이라는 이유를 들어 파격적인 보조금 액수를 계약서에 남기지 말자고 유도합니다.

결국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근거를 없애는 셈입니다.

소비자원은 지나치게 파격적인 조건은 일단 의심하고 믿을 수 있는 판매점을 직접 방문해 구입하라고 조언합니다.

(영상취재 : 이승환,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