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우등 버스는 의원님만…돌아와라" 빛바랜 민생투어

[취재파일] "우등 버스는 의원님만…돌아와라" 빛바랜 민생투어
민주당 지도부가 6월 임시국회를 마무리하고 민생현장 투어의 일환으로 7월 4일 오전 '민생투어'를 시작했습니다. 첫 방문지는 대전입니다. 과학벨트 원안추진을 촉구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대전충남지역을 향한 정치권의 구애는 뜨겁습니다. 새누리당 지도부도 같은 날 같은 시간대 같은 이유로 대전을 방문하고 무소속 안철수 의원은 내일 대전지역 토론회를 예고한 상태입니다. '민생'을 외치는 정치권 공히 충청권 민심잡기 경쟁에 나선 모양샙니다.

특히 민주당 지도부는 민생정치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 몸부림 치고 있습니다. '甲'의 횡포에 맞서 乙을 대변하는 정당의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乙'을 위한 정당이라는 기치를 내걸었습니다. 6월 국회에서 4개의 을(乙)지키기 법안통과를 주도했다는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가맹점에 대한 과도한 위약금을 제한하는 일명 ‘CU방지법’, 5년간 세입자의 안정된 생활과 전세금 떼일 염려를 덜어주겠다며 '임차상인 보호법'과 ‘전·월세 상한제법’도 통과시켰습니다.

국회 관련
6월 국회에서 의원 특권폐지 법안 통과를 주도했다는 것도 민주당이 또 다른 자부심입니다. 국회의원의 겸직과  영리업무 종사를 금지하고 헌정회 연로회원 지원금을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국회폭력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법안입니다. 앞으로도 국회의원의 특권을 민주당이 나서서 계속 내려놓을 계획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기 살을 깎는 심경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야권재편을 둘러싼 주도권 싸움에서 밀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입니다.

7월 4일 오전 6시 2대의 버스가 국회의사당 앞에 대기하고 있습니다. 한 대는 민주당 지도부가, 또 다른 한 대는 대변인실과 기자단이 탑승할 버스라고 당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기자단 지정버스에 탑승했습니다. 취재진은 예닐곱 명에 불과했습니다. 임시국회가 끝난데다 최근의 정치권 현안은 NLL 대화록 논란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야당 지도부의 민생투어는 언론의 주목을 받기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기자단의 숫자가 적어서 인지 6시 20분 출발 예정이었던 버스는 10여 분 정도가 지나서야 국회를 출발했습니다. 9시 대전에서 열릴 최고위원회의를 취재하려면 빠듯한 시간입니다. 이른 시간 버스 안에서 밀린 잠을 청하려고 잠시 눈을 붙이려고 하던 참이었습니다. 버스가 올림픽 대로에 진입해 여의도를 막 벗어나고 있었습니다. 출발한 지 10여 분 정도가 지난 것 같습니다. 함께 버스에 탑승한 대변인실 직원에게 당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당 총무국에서 걸려온 전화라고 합니다. 2분 정도의 통화가 끝난 뒤 경부고속도로로 향하던 버스는 다시 여의도 국회의사당 방향으로 운전대를 돌렸습니다.

국회 관련
민주당은 버스를 되돌린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기자들이 타고 있는 버스는 우등 버스입니다. 당 지도부를 모시기 위해 국회의사당으로 다시 돌아가야 합니다. 취재진들은 일반 버스를 타고 다시 대전으로 출발하시면 됩니다.' 사실 버스를 타고 보니 항공기 비즈니스석에 버금가는 넓고 아늑한 좌석이 이상했습니다. 애초부터 기자단이 탑승하기엔 부담스러운 버스였습니다. 당 개혁과 민생정치를 위해 당력을 집중하고 있는 민주당이 마련한 버스라고 하기에도 어울리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석연치는 않았습니다. 이미 버스는 출발했고 이른 아침 시간인 점을 감안해도 예정된 회의시간에 맞추기도 빠듯한 시간인데 의원님들이 '우등버스'를 타야 한다는 이유로 국회로 버스를 되돌린다는 점이 말입니다. 누가 우등버스를  탔느냐 일반버스를 탔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치인들도 기자들도 늘 시간에 쫓기며 사는 직업인데 누구보다도 잘 아실만한 정당에서 30분 가까이 도로에서 시간을 허비하게 만드는 그런 결정을 했다는 건 분명 납득할만한 결정은 아닙니다.

민주당 지도부_50
당 지도부와 국회의원들은 일반버스를 타면 안되는 것일까요? 생각을 바꿔서 민주당 지도부가 일반버스를 타고 민생현장을 방문했다면 어땠을까요? 국회에서 민생정치와 국회의원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말잔치로 끝낼게 아니라 당 지도부가 일반버스를 탄다면 민주당의 구호가 국민들에게 좀 더 진정성있게 다가올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국회의원들은 항상 고급 승용차를 타고 항공기 고급좌석을 국민의 세금으로 펑펑 쓰는 것 아니냐는 게 국민들의 인식 아닌가요?

민주당은 단순한 해프닝이라고 말합니다. 당연히 우등버스에 의원들이 타고 일반버스에 다른 사람들이 탈 거라고 생각했는데 현장에 있던 당직자가 실수를 했다는 것입니다. 적절하지 않은 변명입니다. 과연 해프닝일까요? 일반버스에 당 지도부를 태우면 큰일난다는 당료들의 잘못된 권위주의와 줄서기가 반영된 낡은 사고는 아닐까요? 아주 사소한 문제인데 기자들과 관련된 일이라 문제가 생기면 가장 약하고 힘없는 직원에게 모든 잘못을 미루려는 우리 사회가 안고있는 책임 회피는 아닐까요?  어쨌든 씁쓸한 기분을 안고 다시 국회의사당으로 돌아왔습니다. U-20 월드컵 축구 8강 진출에 성공한 태극전사들의 선전 소식으로 기분좋게 시작한 아침이었는데 말입니다.

혁신이 뭔가 곱씹어봤습니다. 혁신은 낡은 생각을 바꾸는 것입니다. 일반인보다 우등한 국회의원들이 우등버스에 타야한다는 잘못된 특권의식을 접는게 진정한 혁신이자 개혁입니다. 민생정치와 특권 내려놓기는 사실 사람을 바꾸는 일에서 시작되는게 아니라 정치권에 관행처럼 자리잡고 있는 낡은 생각들을 내려놓는 것부터 시작되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구태정치와 새정치의 구별의 시작점이자 국민들의 불신과 신뢰의 경계선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