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라크 전쟁 10년…끝나지 않는 전쟁 후유증

<앵커>

10년 전 오늘(20일), 미국이 이라크를 전격 침공했습니다. 대량 살상무기를 제거한다는 명분이었습니다. 눈엣가시였던 사담 후세인을 제거했지만 미국인의 58%는 2천400조 원을 퍼부은 이 전쟁이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군 4천500명, 이라크인 13만 명이 숨졌고, 폭격을 퍼부었던 곳에선 기형아 출산 같은 2차 피해가 극심합니다.

카이로에서 윤창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이 집중됐던 팔루자 지역.

이 곳에서 태어난 자하라는 선천적으로 손, 발가락이 6개인 장애인입니다.

자하라의 동생도 기형아로 태어난 뒤 얼마안돼 숨졌습니다.

[모하메드/자하라양 아버지 :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이는 두개골이 열린 채로 태어났다가 숨졌습니다.]

2009년에 태어난 이 아이는 몸통보다 더 큰 종양 덩어리가 달려 있습니다.

전쟁 후유증으로 인한 기형아로 추정됩니다.

조사결과, 팔루자 지역의 기형아 출산율은 신생아 100명 당 무려 14명이나 됩니다.

원자폭탄 투하 직후의 일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보다 13배나 높은 수치입니다.

[아이 낳기가 두려워서 젊은이들이 결혼과 가정을 꾸릴 희망을 갖지 못합니다.]

이라크 전체의 암 발생률도 전쟁 전과 비교할 때 40배나 늘어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미군이 사용했던 60억발 이상의 포탄, 특히 열화 우라늄탄을 기형아와 암 급증의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열화우라늄탄은 인간의 폐로 들어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버스비/교수, 유럽 방사능 위험위원회 : 기형아를 낳은 엄마들의 머리카락을 검사했더니 다량의 우라늄 성분이 검출됐습니다.]

게다가 이라크 전역이 방사능 물질인 우라늄에 오염된 상태여서 전쟁의 후유증과 비극은 대를 이어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