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등록증 반납한 대부업체, 지하에서 불법영업

<앵커>

고금리 규제 속에 대부업체들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문 닫은 업체 가운데 일부가 음지로 숨어들어서 불법으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불법 사채에 피해를 입은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송 욱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와 구청 합동점검반이 대부업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문이 굳게 잠겨 있습니다.

[조충성/서울 동대문구청 : 대부업체가 10월 말인가 나갔어요. 10월 말에 나갔고, 다른 업체 입주한 데는 없고요? (네, 없어요.)]

지난 2007년 1만 8천 개까지 급증했던 등록 대부업체 수는 1만 1천 개까지 줄었습니다.

대부 잔액도 6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불황 탓에 돈 못 갚는 채무자들이 크게 늘고 있지만, 대출이자가 연 39% 이하로 묶여 있다 보니 영세 대부업체들이 문을 닫고 있는 겁니다.

[대부업자 : 지금 이자 받아선 되지가 않아요. 회수도 웬만큼 돼야 하는데 안 되니까.]

그렇다면 폐업한 업체들은 사라진 걸까?

대부업체들의 전단지입니다.

등록 대부업체라고 선전하는 곳에 전화를 걸어봤습니다.

[대부업자 : 200만 원 정도 빌리시면 30만 원이 이자입니다.  (연이자인가요?) 월 이자요.]

이자가 연 180%, 엄연한 불법입니다.

등록번호를 확인했더니 이미 폐업한 업체였습니다.

[대부업자 : 90%가 업을 바꾸지 않아요. 차라리 더 많은 수입을 내서 벌금을 걸리면 내겠다 이거죠.]

문제는 저신용자들이 이런 불법 사채로 더 내몰리고 있단 겁니다.

[불법 사채 피해자 : 대부업체도 심사가 까다로워져서 추가 대출되느냐고 했더니 안 된다고.]

취약 계층의 금융안전망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이 절실합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김태훈,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