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용산 참사 4주기…"달라진 건 아무 것도 없다"

<앵커>

용산참사가 벌어진 지 벌써 4년이 흘렀습니다. 재개발을 거주의 관점이 아닌, 투자로만 보는 개발논리에서 비롯된 비극이었죠. 자 그럼, 그 많은 희생을 겪고, 4년이 지난 지금은 변한 게 있을까요.

권지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용산 개발이 본격화된 4년 전.

땅주인과 집주인은 대박의 꿈에 부풀었지만 세입자들은 현실적 보상을 요구하며 남일당 건물로 올라갔습니다.

용역을 동원한 폭력적 철거와 비현실적 보상제도.

경찰의 무리한 진압작전.

결국 철거 세입자 5명과 경찰관 1명이 희생되는 참극이 벌어졌습니다.

오늘(19일) 용산 참사 4주기 추모대회가 열렸습니다.

초고층 빌딩숲이 들어설 거라던 장밋빛 계획과 달리 주변은 황량한 벌판으로 남아 있습니다.

참사가 벌어졌던 남일당 건물이 있던 곳입니다.

당시 세입자들은 이곳에 4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들어선다는 이유로 강제철거를 당했지만, 4년이 지난 이곳은 정작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4년이 지난 지금 달라진 건 뭘까.

[전재숙/철거 세입자 : 달라진 건 아무것도 없어요. (남편)장례만 모셔놓고 4년 동안 길 위를 헤맸죠.]

참사 직후 폭력적 철거와 용역 동원을 규제하자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강제철거금지법 제정, 경비업법 개정, 현실적 보상제도 도입 등 대책 마련이 활발히 논의됐습니다.

하지만 변한 건 도시정비법상 영업손실 보상비를 석 달치에서 넉 달치로 늘인 것뿐입니다.

[김남근/변호사 참여연대 :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개발사업 때문에 중간에 영업을 중단할 경우에는 동종 동규모의 영업을 다른 곳에 시작할 수 있게 보상을 해주도록 하고 있습니다.]

용산참사 진상규명위는 재개발 제도 개선을 요구하며 콘서트를 열고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도심 재개발은 필요한 과정이지만 그로 인해 피해를 입는 사람들을 무리하게 몰아내는 방식이 되풀이돼선 안됩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박동률·김성일, 영상편집 : 김경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