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버려진 화폐 새로 찍느라 들인 돈 '527억 원'

<앵커>

돈이 버려지면서 또 돈이 들고 있습니다. 손상된 지폐 얘기인데, 우선 장판 밑에 깔려있는 돈부터 꺼내야겠습니다. 화재보다 습기가 손상의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송인호 기자입니다.



<기자>

전국의 은행에서 보낸 돈 중에서 손상된 돈을 걸러내는 한국은행 화폐관리팀.

우선 전문 요원들이 육안으로 걸러냅니다.

찢어지거나, 낙서와 메모로 더렵혀지거나, 변색된 지폐들, 모두가 폐기 대상입니다.

[김봉춘/한국은행 화폐관리팀 계장 : 이렇게 보시지만 별로 많이 찢어지지도 않았는데 이걸 버리게 되니까 5만 원이 없어지는 거잖아요. 좀 아깝죠.]

육안검사에서 살아남은 돈들도 전문 감별기로 옮겨져 어느 정도 이상 손상됐으면 결국 걸러져 파쇄됩니다.

지난 한 해 이렇게 버려진 화폐의 액면가는 1조 8천억 원.

그만큼 새로 만드는 데 세금 527억 원이 들었습니다.

시중 은행에서 교환을 거절할 만큼 심하게 손상된 유형으로는 습기 많은 곳에 보관해 부패한 경우와 불에 탄 경우 순으로 많았습니다.

지폐는 75% 이상 남아 있으면 전액, 40% 이상 75% 미만이면 반액, 40% 미만이면 무효로 휴지조각이 됩니다.

가로를 100으로 했을 때 60~75 사이가 찢어져 이등분된 경우 원래 한 지폐였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할경우 액면가의 절반밖에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