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가위클리] 朴 당선인 인수위 진용 구체화

박근혜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구체적인 진용을 갖추고 내일(6일) 출범합니다.

박 당선인의 인수위는 정책 전문가를 대거 배치했고, 분과는 세분화하되, 인원은 소규모로 구성하는 '실무형 인수위'로 구성됐습니다.

우선 국정기획조정분과 간사로 발탁된 유민봉 성균관대 교수는 인수위 분과들을 사실상 총괄하는 역할임에도 친박진영에선 무명에 가까운 인물입니다.

새누리당의 총선과 대선 캠프에서 활동하지도 않았고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에도 참여한 바 없습니다.

정치색을 최대한 배제한다는 박 당선인의 의지가 담긴 인선으로 보입니다.

특히 어제 발표된 인수위원 인선엔 '박근혜 정책'을 만들어 온 전문가들이 전면 배치된 점이 특징입니다.

23명의 인수위원 가운데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출신이 7명이고 대선 공약을 만들었던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출신이 13명이나 됩니다.

인수위 조직 구성안도 이번 주 공개됐습니다.

과거와 비교해 새로 생긴 분과를 보면 박 당선인의 정책 방향이 읽히는데, 이번 인수위는 국정기획조정과 정무, 외교국방통일, 경제1, 경제2, 법질서와 사회안전, 교육과학, 고용복지, 여성문화위원회 등 총 9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됐습니다.

10년 전 노무현 인수위가 6개 분과, 5년 전 이명박 인수위가 7개 분과로 구성됐던 것과 비교하면 좀 더 세분화 됐습니다. 교육 과학과 고용복지, 여성 문화, 그리고, 사회 안전 분과가 생긴 것은 이 분야에 대한 공약 이행을 꼼꼼히 챙기겠다는 당선인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인수위 산하 특별위원회로는 국민대통합위원회와 청년특별위원회가 가동됩니다.

실무형 인수위가 강조되면서 자연스레 규모도 축소될 전망입니다.

노무현 인수위가 233명, 이명박 인수위가 183명이었지만, 박근혜 인수위는 이보다 적은 100에서 130명 사이가 될 거라는 관측이 유력합니다.

인수위는 내일 현판식과 인수위원 임명장 수여식을 갖고 본격적인 정권 인수작업에 들어갑니다.

국회에선 5년 만에 여야 합의로 새해 예산안 342조 원이 처리됐습니다.

그러나 합의가 늦어지면서 해를 넘겨 처리한데다, '지역 민원성 끼워 넣기 예산'이 많았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원들의 '특권 내려놓기'는 말뿐이었느냐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