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수위 성공하려면…'자리 나누기'·과욕 금물

"새 정부 가치, 방향 정하는 게 중요"

<앵커>

대통령직 인수위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강력한 새 권력이 집중되는 곳입니다. 그래서 조심할 게 많습니다. 뭘 하고, 또 뭘 하지 말아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인수위가 논공행상식 자리 나누기 판이 되면 안 된다는 겁니다. 또 과욕은 화를 낳습니다.

김흥수 기자입니다.



<기자>

5년 전 이명박 당선인은 대선이 끝나고 일주일 만에 인수위 구성을 완료했습니다.

하지만 인수위 출범 초부터 설익은 정책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른바 '영어 몰입' 교육 정책이 발표 뒤 며칠 만에 취소되는 등 혼선을 빚자 당선인이 직접 진화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2008년 2월 : 인수위가 아주 세세하게 할 순 없고 원칙만 정해놓으면 다음에 정부가 탄생하면….]

당시 인수위에 관계했던 인사들은 두 달이 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가시적 성과를 내려는 성급함을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임태희/2007년 이명박 당선인 비서실장 : 인수위는 너무 많은 일, 또 너무 세세한 일을 하려고 하면은 실패한다고 저는 봅니다. 새 정부가 지향해야 될 가치, 방향 이것을 정하는 게 중요하다 이거죠.]

또 5년 전 인수위에서는 각종 비상근 자문위원이 700명까지 늘어나면서 자리 나눠주기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 때문에 인수위를 선거과정에 기여한 사람들을 위한 논공행상의 도구로 이용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함성득/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 인수위원을 임명하는 시기부터 바로 실제적인 인사탕평책을 실시하는 방향으로 지역과 세대와 이념을 넘어서서 임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수위가 마치 점령군처럼 행세하다가는 현 정부와 불필요한 갈등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현 정부 정책 중 수용할 부분은 열린 자세로 적극 수용하고, 현 정부의 마무리에도 협조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설민환, 영상편집 : 김종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