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00만 명당 3명뿐…갈 길 먼 기증문화 해법은?

<앵커>

2008년 시작된 인체조직 기증은 올해로 5년째를 맞았습니다. 지금까지 9700명 정도가 기증을 서약했습니다.

이 수치, 외국과 비교해 볼까요. 우리나라는 인구 100만 명당 3명인데 미국은 133명, 스페인은 58명에 이릅니다.

갈 길 먼 기증 문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유덕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한 어린이집에서 열린 인체조직 기증 홍보행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 기증이 활성화돼야 합니다.]

교사 11명이 현장에서 인체조직을 기증하겠다고 서약했습니다.

[강민아/인체조직 기증 서약 : 고민은 안 했어요. 장기기증보다는 쉽게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 결심하게 됐어요.]

실제로 살아 있거나 뇌사 상태에서 이뤄지는 장기 기증과 달리, 인체조직 기증은 사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부담이 훨씬 덜합니다.

하지만, 숨진 뒤에 유족이 반대하면 기증은 불가능합니다.

그만큼 유족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지난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의사 고 박준철 씨.

박 씨의 아내는 남편의 인체조직 기증에 망설임 없이 동의했습니다.

[송미경/배우자 '인체조직' 기증 동의 : 어차피 화장해도 재로 남고, 땅에 묻어도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가는 거잖아요. 죽음의 끝에서 누군가에게 소망이 되고 생명이 될 수 있다는 건 소중한 것 같거든요.]

자신도 인체조직 기증을 서약했습니다.

장기 기증 서약자도 부족한 실정이지만, 인체조직 기증 서약자는 장기 기증 서약자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정부가 장기와 혈액처럼 인체조직을 독점 관리하고, 지자체는 기증자에게 화장 비용을 지원해주는 등 제도 개선도 절실합니다.

삶의 종착역에서 실천하는 따뜻한 나눔의 가치.

그 나눔으로 누군가는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임우식,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