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 시내 약수터들이 대장균 오염으로 비상이 걸렸습니다. 장마와 태풍의 후유증입니다.
이호건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고덕동의 한 공원 약수터.
[동네 주민 : 여기 오는 사람들이 물 좋다고 여기 찾아서 막 오고 그랬어요. 그냥 안 끓이고 이 물 먹어요.]
하지만 이 약수터는 지난달 수질검사에서 대장균이 검출돼 식수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관할 구청에서 식수 부적합 경고 문구를 붙여놓았지만 있으나 마납니다.
[주민 : (음용 부적합 쓰여는데 드셔도 괜찮으시겠어요?) 틀어놓으니까 사람들 계속 뜨러 오잖아요. 이걸 써 붙이려면 이걸(물이) 나오게 하지 말든지 해야지.]
서울 시내 다른 약수터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구석에 경고 표지만 붙어 있는 약수터부터 경고 표지판 바로 옆에 수질이 양호하다는 표지판이 함께 붙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지난 7월 서울 시내 약수터 273곳을 조사한 결과 70%가량이 식수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문제는 장마나 태풍으로 비가 많이 내리면 토양층의 오염물질이 그대로 지하수로 유입돼 약수터 수질이 일시적으로 악화된다는 것입니다.
[박찬구/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음용용수팀장 : 끓여 먹어도 포자 상태로 사멸 안 되는 세균 있기 때문에
아예 안 먹는 게 낫다.]
오염된 약수터 수질이 회복되려면 3달 넘게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시민들은 여름철 약수터 이용을 자제하고, 당국은 일시적으로 전면 폐쇄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합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