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이 총리까지 앞장서서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까지 부인하자, 각계각층의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문제를 유엔 총회에 다시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안정식 기자입니다.
<기자>
시민단체와 학자, 시민 등 163명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 정부를 규탄하기 위해서입니다.
[정진성/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식민과 전쟁 피해자들의 고통이 점차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에 참을 수 없는 분노마저 치솟는다.]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증거가 없다는 노다 일본 총리의 망언에 대한 규탄이 이어졌습니다.
[이신철/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교수 : 기존의 일본 문서나 세계 각국의 문서를 통해 이미 증명된 내용도 부정하는 그런 발언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일본 측의 잇단 망말은 범죄의 본질을 희석시키려는 21세기 최대의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일본을 규탄했습니다.
정부도 비판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조태영/외교통상부 대변인 : 과거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반성을 또 다시 무효화 하는 행위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국회 외교통상위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유엔 총회에서 다시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