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제의 '사할린 한인 대량학살 추정 문서' 입수

<앵커>

8·15 광복절을 맞아서 불행했던 과거사의 단면을 돌이켜봅니다. 사할린에 강제 동원된 한인들이 일제에 의해 대량 학살됐을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당시 러시아 정부의 문서가 공개됐습니다.

권애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944년 강동수 씨는 어머니와 함께 일제에 강제동원된 아버지를 찾아 사할린으로 떠났습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타국땅에서 숨지고 백발이 된 강 씨만 지난 2008년 64년 만에 돌아왔습니다.

[강동수/73세, 사할린 강제동원 한인 유족 : (아버지의) 희망이 그것밖에 없었어요. 아버지가 자신은 못 가시더라도 저는 꼭 한국으로 돌아가라고….]

국가기록원은 사할린 한인 1만 1000명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명부를 발굴해 공개했습니다.

이처럼 대규모의 사할린 한인 명부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족관계와 활동내역 등이 상세히 적혀 있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강제동원 보상 작업의 근거가 될 걸로 보입니다.

특히 일본이 2차대전 후 사할린의 한인을 대량학살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1940년대 러시아 정부의 문서도 입수됐습니다.

이 문서에서 러시아 정부는 사할린 서북부에 1만 명 넘게 살던 한인들이 전쟁 후 절반으로 줄었다며 그 이유로 피난이나 귀환과 함께 일본 군국주자들의 학살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일제의 사할린 한인 학살사례는 46명뿐입니다.

[한혜인/건국대 교수 : 한국과 일본이 이 문제에 관련해서 관심을 갖지 않았을 때 스스로 단체를 만들어서 귀환운동을 했던 그 역사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자료입니다.]

보상 신청과 함께 유엔차원의 진상조사와 일본 기업에 대한 집단 소송으로 파장이 확산될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