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기압 부족이 사고 부른다…급제동 위험도 ↑

<앵커>

사고 기록도 중요하지만 사고 예방이 우선이죠. 지나치기 쉬운 타이어의 공기압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종종 확인하셔야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김요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앞차를 그대로 들이받는 차량.

평소 같으면 충분히 멈출 수 있는 거리지만 비 때문에 제동거리가 늘어났습니다.

이런 빗길 사고의 위험성은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할수록 커집니다.

빗길에서 시속 100km로 달리다 급제동을 해봤습니다.

공기압이 40% 적은 타이어의 제동길이가 10% 이상 길었습니다.

[박천수/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 자동차 중량에 의해서 너면과 접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면적이 넓어지면 배수성이 나빠지고, 빗물이 윤활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지거리는 더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잘못된 주차나 주행 습관으로 한쪽 공기압만 빠진 경우도 문제입니다.

시속 100km에서 급제동을 하자, 차가 왼쪽으로 심하게 기울여집니다.

2차선 도로라면 중앙선을 넘을 수도 있습니다.

부족한 공기압은 타이어를 쉽게 망가뜨리기도 합니다.

주행 실험 결과, 공기압이 40% 적은 타이어는 260km를 넘자마자 터져버립니다.

하지만 적정 공기압을 유지한 타이어는 같은 속도에도 변화가 없습니다.

[배교석/한국타이어 내부시험연구팀 :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고속 주행을 하면 타이어 옆면에 물결모양의 변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열 때문에 타이어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인 옆면을 통해 사고가 더 발생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분기에 한 번 이상은 차량 공기압을 점검하라고 조언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