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후 피임약 재분류 논란…소비자들 '혼란'

<앵커>

사전, 사후 피임약에 대한 재분류를 두고 의료계와 약업계는 의견이 정반대로 갈렸습니다. 의사들은 둘 다 처방전이 필요하다, 약사들은 둘 다 처방 없이 살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겁니다. 또 종교-시민단체도 가세해 낙태와 성도덕에 관한 논란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신승이 기자입니다.



<기자>

사후 긴급피임약의 일반 약 전환에 대해 의학계는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사후 긴급피임약 구매가 쉬워지면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신정호/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 :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가 불규칙한 출혈입니다. 정상적인 월경으로 오해하시면 나는 임신이 안 됐다고 오해하실 수 있거든요. 그럼 뒤늦게 진단이 돼서 일을 키울 수가 있는 거죠.]

천주교 등 종교계는 사실상 생명 파괴행위로 규정했고 낙태반대운동연합 등 일부 시민단체도 무분별한 성문화를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에 약사회는 사전 피임약의 전문 의약품 전환을 문제삼고 나섰습니다.

식약청이 사전 피임약의 부작용을 과도하게 부각해 국민 불편을 초래한다는 겁니다.

[김동근/대한약사회 홍보이사 : 수십 년간 큰 부작용 없이 사전 피임약이 잘 사용되어 왔습니다. 저함량의 사전 피임약까지 전문의약품 분류를 해야 된다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일입니다.]

소비자들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처방전 없이 자유롭게 구입하도록 방치했던 사전 피임약의 부작용을 뒤늦게 거론한 보건당국의 조치에 대해서도 불만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식약청은 처방전 없이는 미성년자에게는 사후 긴급 피임약의 판매를 금지하고 다른 일반의약품과 달리 TV 등 각종 매체의 광고를 제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또 추진안일 뿐 아직 확정된 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황인석, 영상편집 : 최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