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안부를 그지없이 수없이 하네"

500년전 어느 젊은 부부의 연애편지

이미지
'원이 엄마의 편지'라고 들어보셨나요? 해외 고고학 저널 등에도 소개되고 이를 모티브로 한 소설과 오페라가 만들어질 정도로 화제가 됐던 이 조선 중기의 '러브레터'는 1998년 경북 안동에서 택지개발을 위해 고성 이씨 문중 묘를 이장하던 중 이 집안 사람 이응태의 묘에서 발굴됐습니다. 이응태는 1556년에 태어나 1586년에 사망했으니, 우리 나이로 겨우 서른 한 살에 세상을 떠난 남잡니다. 지금보다 평균수명이 훨씬 짧았을 때라지만 요절했다고 말할 수 있겠죠.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한 이름없는 시골 선비의 묘가 유명해진 건 묘에서 발견된 이응태의 아내 '원이 엄마'의 연서 때문입니다.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중략) 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여보,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어찌 그런 일들을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나요....(중략).... 나를 데려가 주세요.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나는 꿈에서는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서른을 갓 넘은 남편을 보냈으니, 이 편지를 쓰던 때의 '원이 엄마'도 아마 그 또래, 제 또래였겠지요.
옆에 있으면 눈물에 흠뻑 젖었을 그 손이라도 한 번 꼭 잡아주고 싶을 만큼 이렇게 간절한 그리움. 한글 편지에 담긴 꾸밈없는 그 마음이, 남편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비통이 구구절절이 사무칩니다. 원이 엄마는 떠나는 남편 저승 가는 길에 신으라고, 자신의 머리카락을 섞어짠 미투리도 한 켤레 남편 머리맡에 넣고, 이 편지를 남편의 가슴에 놓았습니다.

물론 어떤 사랑이든 함부로 ‘비교’할 순 없겠지만, 제게는 유명하고 화려한 사람들의 그 어떤 불꽃 같은 연애담보다 가슴에 깊이 남는 사랑얘깁니다.

이번에 행안부 국가기록원이 복원해 공개한 조선시대 편지의 주인공들은 이 이응태 부부보다 ‘아마도’ 백 년 가량 앞선 사람들입니다.  

지난해 대전 유성구에 있는 안정 나씨 종중 분묘를 이장하던 중에, 천연 미라가 된 집안 여인 한 명의 묘가 발굴됐습니다. 묘의 주인은 조선 시대 여인들이 보통 그렇듯, 본인은 이름도 없이 ‘나신걸의 아내 신창 맹 씨’라고만 남아 있는 사람으로, 맹사성의 고손녀로 추정됩니다. 나 씨 집안의 족보로 계산해 본 결과, 대략 15세기 중반에서 16세기 전반 무렵에 살았던 인물들로 보인다고 합니다.

천연 미라가 된 맹 씨의 시신 상태가 워낙 ‘완벽한’ 편이어서 이목을 끌기도 했지만, 그녀의 머리맡에 놓여있던 편지 두 통이 화제가 됐습니다. 이응태 부부와 반대로, 생전의 아내에게 보낸 남편의 한글 편지들이 아내의 목관에 함께 묻힌 겁니다. 기존에 발견된 가장 이른 시대의 한글 편지가 1555년 것인데, 나신걸이 부인에게 이 편지들을 쓴 것은 그보다 앞선 시대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남편이 숨진 뒤 쓴 ‘원이 엄마’의 편지와 달리, 나신걸의 편지는 두 부부가 평소에 주고받은 것들입니다. 편지의 내용을 보면 당시 나신걸은 가족을 고향에 두고 타지에 전근을 다니던 하급 무관이었습니다. 한 마디로 기러기 부부였던 겁니다. 평소에 주고 받은 편지이니 이런저런 가정사를 챙기는 내용이 주를 이루지만, 편지 곳곳에서 아내와 가족을 생각하는 남편의 마음이 은근히 묻어납니다.
이미지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분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라는 구절입니다. 당시 화장품인 분과 바늘은 모두 중국 수입품. 국내에선 제조기술이 없어 만들지 못하던 귀한 물건들입니다. 나신걸 부부의 시대로부터 백 년 넘게 지난 17세기 이후에도, 이 품목들은 워낙 희귀품이라 고관대작들이나 구해다 쓰는 물건이었다고 합니다. 일개 하급 무관이었던 나신걸이 ‘분과 바늘’을 손에 넣기도 쉽지 않았겠지만, 아마도 얼마 안 되는 월급을 탈탈 털었어야 할 겁니다. (이 시기의 분과 바늘 가격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여러 분을 접촉했지만 “17세기 이전의 국내 분과 바늘 가격은 자료가 전혀 없다. 국내 유통 자체가 별로 안 됐을 것”이라는 답만 들었습니다.)

영상 통화나 화상 채팅은 커녕, 한 번 집을 떠나면 언제 또 보고 목소리 한 번 들을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땝니다. 군대의 사정에 따라 움직이는 나신걸도 이때 본인은 집에 들를 형편이 못됐나 봅니다. “분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 집에 못 다녀가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 있을꼬 울고 가네. 어머니와 아기를 모시고 다 잘 계시소. 내년 가을에 나오고자 하네.”라고 적고 있습니다. 자신 없는 집에서 혼자 시어른들 모시면서 아기 키우고 있는 아내에게 ‘일 년 뒤에나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얘기를 해야 하는 이 젊은 남편, 어렵게 구한 귀한 선물 얘기, 동네 아낙들이 부러워할 얘기부터 딱 꺼내고, 그 뒤에 ‘비보’를 전하는 그 마음을 왠지 알 것 같지 않습니까^^

다른 편지의 시작도 애틋합니다. “안부를 그지없이 수없이 하네.” 보지는 못하고 서로 궁금해하기만 하면서 편지만 주고받는 안타까운 마음, 부부가 함께 하지 못한 길고 긴 시간이 이 한 문장에 그대로 녹아 있죠.

이어지는 건 자기만 집에 갔다오는 상관에 대한 분노입니다^^ 아마 타지에서 또 전근을 가면서 군대서 휴가 나오듯 집에 갔다 올 타이밍을 노렸는데, 결국 가지 말라는 소리를 들은 다음인가 봅니다.

“집에 가 어머님이랑 아기랑 다 반가이 보고 가고자 하다가 장수가 혼자 가시며 날 못 가게 하시니, 못 가서 못 다녀가네. 이런 민망하고 서러운 일이 어디에 있을꼬? 군관에 자망한 후면 내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것일세.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을 구태여 가면 병조에서 회덕골(나신걸의 집이 있던 지금의 대전 대덕구 지역입니다.)로 문서를 발송하여 조회하여 잡아다가 귀향 보내게 될까 하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에 있을꼬? 아니 가려 하다가 못하여 영안도로 경성 군관이 되어 가네.”

군관은 당시 장교급의 무관. 하지만 신분상 일반 군사와 그닥 다를 바 없는 자리였습니다. 나신걸은 어쨌든 승진을 노린 걸로 보이는 이 자리에 자망, 즉 지원을 해둔 상태였던 거죠. 그랬더니 군관이 되긴 했는데 영안도, 지금의 함경도, 집 반대편으로 발령이 나 버렸습니다. 더 멀리 가기 전에 집에 한 번 다녀와야 할 텐데, 상관인 장수가 자기는 집에 갔다 오면서 나신걸은 못 가게 한 겁니다. 몰래라도 다녀올까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혹시 고향에 갔을 때 국방부에서 조회 나와서 들킬까 봐 그럴 수도 없답니다. 아내에게 민망하고 자신도 서럽습니다. 고향과 가족에 대한 향수, 얄미운 상관에 대한 뒷담, 이번에도 또 못 간다는 하기 힘든 얘기, 아내에게 어리광부리듯 변명하듯 늘어놓는 이 남편, 아내는 얼마나 보고 싶었을까요.



신창 맹 씨의 미라를 보면, 머리카락 상태 등을 볼 때 상당히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후손들의 뜻에 따라 부검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습니다.) 저는 왠지 함경도에서 ‘안부만 그지없이 수없이’ 할 수 밖에 없던 이 남편이 아직 집에 돌아오지 못했을 때, 젊은 맹 씨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시절에 함경도에서 대전 한 번 오려면 며칠이 걸렸겠죠. 아니, 사망 소식 자체를 알리는 것부터 며칠 걸렸을 겁니다. 부음을 듣고 황급히 집에 돌아오고 있는 남편이 최근에 보내왔던 편지 두 통, 맹 씨가 그 무렵 품에 보듬어 읽고 또 읽었을 그 편지를, 장례를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던 가족들이 대신 목관에 넣어준 건 아닐까요. 편지 곳곳에 아내와 가족에 대한 사랑이 묻어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안부를 전하고 집안일 챙기는 게 주된 내용인 편지 두 통이 같이 묻힐 추억으로 ‘채택’된 건 그 때문이 아닐까 저는 추측(상상^^)했습니다. 그지없이 하던 많은 다른 안부들을 찾을 겨를 없던 가족 중 누군가가 맹 씨가 가까이 간직하고 있던 편지나마 넣어준 것은 아닐까. 나신걸은 뒤늦게 아내의 갓 쌓은 봉분 앞에 당도했던 것은 아닐까.

종이가 귀하던 그 시대에 사람들은 일단 한가운데에 제대로 편지를 쓴 뒤 귀퉁이까지 빼곡하게 편지를 썼습니다. 나신걸이 아내에게 보낸 편지가 꼭 그렇습니다. (솔직히 명필은 아닌 것 같지만) 처음엔 제법 큼직하고 반듯하던 글자가 귀퉁이로 몰려나면서, 종이를 360도 돌려가며 여백을 채우면서 점점 작아지고 이지러집니다. 편지의 말미에 이르면 그야말로 ‘깨알’처럼 작아지는 글자들 속에 미처 더 하지 못한 하고픈 말들이 더 숨어있는 것 같습니다. 종이를 원없이 쓸 수 있었으면 혹시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었을까요. 아니면 ‘내년에’ 집에 가도 아내는 나를 기다리고 있을 테니까 그때 보고 싶었다고 꼭 말해줘야지 했을까요. 나신걸은 어렵게 구해줬던 분으로 곱게 단장한 그 아내의 얼굴을 한 번 본 적은 있을까요.

이렇게 ‘안부를 그지없이 수없이 한’ 젊은 부부는 어떤 추억을 안고 이별했을까. (그리고 자기 혼자 집에 다녀온 장수는 정말 밉구나.) 국가기록원에서 복원된 편지를 덮은 보존용 필름 위를 살짝 쓸어보면서,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모습의 사랑이 있는가 새삼 생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