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간 어린이집 '꼼수'에 두 번 우는 학부모들

<앵커>

아이 키우는 부모님들, 무상보육이란 말 실감을 하십니까? 올해부터 보육료 지원을 받는 가정은 늘었지만
어린이집에 갖가지 추가 비용을 내느라 부모들 부담이 더 커졌다고 하소연하십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정경윤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



<기자>

만 5세 딸을 민간 어린이집에 보내는 경기도의 한 학부모.

매달 정부로부터 보육료 20만 원을 지원받지만 이걸로는 턱도 없습니다.

한 달에 어린이집에 내야 하는 추가 비용이 30만 원이 넘기 때문입니다.

간식비는 지난해엔 없던 게 새로 생겼고, 특별활동비는 2만 원이 올랐습니다.

[김모 씨/학부모 : 해도 별 효과가 없는 것들을 하면서 그걸 수행성 경비라는 명목으로 잡아서 안 내면 안 되게끔 하니까.]

서울 강남의 한 민간 어린이집은 추가 비용이 대학 등록금 수준입니다.

간식비, 교재비, 재료비 등 상반기에 내는 추가 비용을 다 합치니 350만 원에 육박합니다.

부르는 게 값이고 카드 결제도 받지 않습니다.

[경기도 용인 00어린이집 원장 : 정부에 등록해서 카드 결제해야 하는데 우린 그건 안 하거든요. (이이사랑 카드 결제 안 해요?) 네.]

아이를 맡긴 학보모들은 항의조차 제대로 못 합니다.

[이모 씨/학부모 : 엄마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게 그 말이었어요. '아이를 위해 이 정도 투자 못하세요?'라는… 애들을 걸고 넘어지면 엄마들은 무너지는 것 같아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정부의 무상보육.

누구도 실감하지 못하는 탁상 행정으로 변질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