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도로에 구멍 '숭숭'…지하에서 무슨 일이

전국 곳곳에서 지반침하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18일 인천에선 지하철 공사 도중 6차선 도로가 꺼져 추락한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졌고요, 지난달 6일에는 서울 성북구의 주택가 경사면이, 19일에는 부산 해운대구의 인도가 내려앉아 보행객 한명이 다치기도 했죠. 또 31일에는 서울 양재역 사거리 부근과 성남시 정자동의 도로 지반이 붕괴돼 이곳을 지나던 택시가 추락하기도 했습니다.

갑자기 지반이 약해지기라도 한 걸까요? 지진이 난 것도 아니고 요즘 왜 이렇게 많이 무너져내리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반이 약해진 게 맞습니다. 최근 잇따르는 지반침하 원인을 두고 말들이 많지요. '인재냐' 아니면 '천재냐', '상수도관이 터져 물이 새어나와 침하된 거다', 아니면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아 무너진 거다'라는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따져보면, 최근 일어나는 지반침하는 해빙기에 땅이 녹으면서 지반 자체가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겨울 동안 땅 속에 있는 수분은 경사면 쪽으로 쏠려 얼어붙으면서 부피가 평균 9% 정도 팽창하게 되는데요, 날씨가 따뜻해지니 물이 녹아 아래로 흐르게 되고, 땅 속에는 물이 팽창했던 부피만큼 빈 공간이 생겨 땅이 무너지기 쉬워지는 겁니다.

또 도로면에서도 땅 속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지면쪽에 수분이 모이면서 얼음을 형성하게 되고, 이 경우 도로가 울퉁불퉁해지면서 차량 타이어 충격 등으로 파손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얼어붙었다 녹은 땅은 녹기 전에 비해 강도가 평균 11% 정도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수도관이 터진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상수도관이나 하수관이 터지면, 물이 새어나오게 되죠. 물이 새어나온다 해도 겨울 동안에는 땅 속에서 얼어붙기 때문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물이 녹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문제가 발생하는 거죠.

"해빙기 침하는 당연한 것이다.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아 무너진 것이다"라고 단언하는 일부 주장은 조금 무책임해보입니다. 물론 당연히 보강재가 설치된 지역은 해빙기에도 지반 침하가 상대적으로 덜 일어나겠지만, 과연 최근 지반 침하가 일어난 지역이 모두 보강재가 없었을까요? 피해 지역마다 모두 보강재가 있는지 없는지 일일이 조사해보고 따져보고 낸 의견일까요?

그렇다면 지반침하는 인재일까요? 천재일까요? 사실 둘다 맞습니다. 해빙기에 지반 침하가 일어나는 건 자연적인 현상이고, 이를 막기 위해선 인위적인 보강이 필요한 게 사실이니까요.

전문가들은 경사면의 경우엔 배수로를 파내 물의 흐름을 돌리거나 사면을 보강하는 심을 박으면 침하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또 도로면의 경우엔 직경 19밀리미터 정도의 자갈로 이뤄진 동상방지층을 도로 밑에 깔면, 애초에 땅 속 수분이 도로 위로 올라와 얼어붙는 걸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이런 예방책들이 지반 침하를 100% 막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낫겠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전에 지반침하를 기온변화에 따른 자연적인 현상으로만 치부하지말고, 적극적으로 예방책을 마련하는 게 시급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