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북-중 국경 마을에 탈북자 신고호출기 설치

버튼 누르면 파출소로 자동연결…대화도 전달<br>'탈북자 북송' 이슈화에 국경 단속 부쩍 강화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상한 이후 북-중 경계 지역에서 중국의 탈북자 단속과 체포활동이 더 강화됐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23일 전했다.

특히 중국 공안당국은 최근 북-중 경계지역 한 마을에 탈북자 접촉시 당국에 신고할 수 있는 장치인 신고호출기를 시범설치하고 이를 북-중 국경지역 전체로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옌벤(延邊) 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시에 사는 재중동포(조선족) 최홍매(가명)씨는 "룽징시 공안국과 변방부대가 최근 룽징시 싼허(三合)마을에 탈북자 신고호출기를 집집마다 설치했다"며 "탈북자가 집에 찾아오면 집주인이 몰래 호출기를 눌러 파출소에 연락하도록 돼 있더라"고 밝혔다.

강을 건너 중국으로 넘어간 탈북자들은 중국에 친척이나 지인이 없는 경우 대체로 국경지역의 중국인 민가에 찾아가 도움을 청하곤 한다.

최씨는 "며칠 전 싼허에 있는 친척집에 갔다가 '뚜이장지'라 부르는 이 호출장치를 봤다"며 "벽에 설치된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바로 파출소로 신호가 간다. 버튼 옆에 있는 스피커처럼 생긴 장치를 통해서는 탈북자와 나누는 대화가 그대로 싼허 파출소로 전해진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파출소로 신호가 가면 공안원과 변방부대 군인이 해당 민가로 출동해 탈북자를 체포하는 방식이다.

옌벤 조선족자치주 허룽(和龍)시 변방부대에 근무하는 한 조선족 장교는 "싼허에 시범적으로 설치된 탈북자 신고체계가 당국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비용문제로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조만간 이런시스템을 중-조 국경지역 전체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에서 탈북자 북송문제로 중국을 강하게 비난한 이후 위로부터 각 변방부대에 특별지시가 내려왔다"며 "국경 전역에서 탈북자 단속이 심해지고 특히 변방 도시로 들어가는 행인들에 대한 증명서 검열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북-중 국경지역에 관광을 다녀왔다는 강모(여)씨는 "11일 오전 7시30분에 창바이(長白)현을 출발해 옌지(延吉)로 가는 버스에 탑승한 북한주민(여)과 한국 국적의 탈북자(남)가 중국 변방부대 군인들에게 체포되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그날 옌지시로 들어가는 길목을 지키던 변방부대 군인들은 1시간 40분 간이나 버스를 세우고 검문 하면서 북한여성이 지니고 있던 `도강증(중국여행증)'의 기한이 지났다고 트집을 잡다가 이 여성과 일행인 한국 국적의 탈북남성을 마약 운반 혐의로 체포했다고 강씨는 전했다.

강씨는 "그들이 진짜로 마약을 운반하고 있었는지 알 수 없는 일"이라며 "한국 여권을 가진 남성이 탈북자 출신이라는 걸 알고 붙잡아간 것 같다"고 말했다.

탈북자 양모씨는 "탈북자 북송문제 이슈화로 중국이 탈북자 단속에 더 열을 올린다고 들었다"며 "탈북자 북송을 저지하지도 못하고 결과적으로 중국에 숨어 있는 탈북자들만 더 위험해진 상황이 됐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